
경상권에 발생한 초대형 산불 여파로 산불 진화의 주력 자원인 소방헬기를 대폭 늘리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경향신문 취재결과 확인됐다. 대형헬기와 국산 중형헬기 수리온의 조합이 될 것으로 보이며, 도입 대수는 최대 두자릿수다.
7일 경향신문 취재를 종합하면 산림청은 2026년 예산안에 대형헬기인 CH-47(치누크) 1대와 중형헬기인 KUHC-1(수리온) 3대를 반영할 계획이다. 정부·국회가 논의 중인 추가경정예산안에도 산불진화 헬기 도입 반영을 요청하기로 했다.
산림청 주력 헬기인 담수량 3000ℓ의 러시아산 KA-32 헬기(29대 보유)는 부품 공급이 끊겨 지난해부터 8대가 가동 중단됐다. 가동 중단 대수는 내년 14대, 2027년 15대, 2028년 17대로 늘어날 것으로 추정된다. KA-32 17대까지 가동이 중단되면 5만1000ℓ가 산불 진화 전력에서 빠지게 된다.
산림청은 올해 대형 1대 및 중형 2대(1만5000ℓ), 2027년 대형 2대(8000ℓ·1만1000ℓ)와 중형 1대(2500ℓ), 2028년 대형·중형 각 1대(1만3500ℓ)를 계획대로 도입된다고 해도 2028년까지 추가확보 가능한 담수량은 4만1000ℓ에 불과하다.
이탈하는 헬기 수가 늘어나면서 가동 가능한 헬기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경상권 초대형 산불 여파로 올해 산불헬기 평균 비행시간은 기준시간인 150시간을 훌쩍 넘길 전망이다. 산림헬기 1대를 도입하는 데 걸리는 기간(3년)을 고려하면 당장 헬기 확충을 요구할 명분은 큰 셈이다.
정부·국회가 산림헬기 확충에 공감대를 이루더라도, 전 세계적으로 산불 헬기를 입도선매하는 분위기가 번지면서 ‘호가’ 상승이 전망되는 건 부담이다. 부품 가격도 상승해 헬기 가격은 상승추세다.
산림청이 2015년 계약한 수리온 1대의 가격은 205억원, 2022년 계약해 지난해 12월 배치한 수리온 2대의 가격은 498억원이었다. 지난해 담수량을 기존 2000ℓ에서 2700ℓ로 늘린 수리온을 계약할 때 대당 가격은 330억원이었다. 신규 도입 때마다 대당 가격이 44억원, 81억원씩 상승했다.
산림당국 관계자는 “미국이 헬기의 국외 반출을 금지했고, 일본에서도 대형 산불이 계속 나면서 헬기 부족이 현실화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