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최주현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S)가 인간 대신 과제를 수행하는 인공지능(AI) 에이전트를 업무 보조가 아니라 업무 운영자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도구를 대거 내놨다.
인공지능(AI)이 자동으로 코딩해주는 '바이브 코딩'을 넘어 AI가 자동으로 업무를 진행해주는 '바이브 워킹' 시대를 준비하는 모양새다.
18일(현지시간) 연합뉴스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는 이날 미국 샌프란시스코 모스콘 센터에서 개최한 개발자 대회 '이그나이트 2025'에서 자사 플랫폼 전반에 통합되는 '에이전트 365'를 공개했다. 에이전트 365는 MS 플랫폼 내에서 사용되는 모든 AI 에이전트를 한 곳에서 관리할 수 있는 도구다.
AI 에이전트가 운영하는 과제의 현재 성과를 확인할 수도 있고, 에이전트가 접근할 수 있는 데이터와 그렇지 않은 데이터를 구분해 효율성은 높이면서도 보안을 유지할 수도 있다. 에이전트를 표적으로 삼는 공격 등도 탐지한다.
이렇게 에이전트를 통합 관리하는 별도의 도구를 마련해야 할 정도로 MS는 플랫폼의 모든 영역을 에이전트로 구동할 수 있도록 했다.
워드·엑셀·아웃룩 등 전통적인 오피스 프로그램은 물론이고 기업용 메신저·회의 앱 팀스와 보안·생산성 설루션인 MS 디펜더·엔트라·퍼뷰, 클라우드 서비스 애저 등도 에이전트로 구동할 수 있게 된다.

MS가 이처럼 AI 에이전트를 전면에 내세우는 것은 지난해부터 강조해온 '프런티어 기업'이 점차 늘고 있으며 이들의 수익률이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가 MS 의뢰를 받아 비즈니스 리더 4천 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AI를 활용해 비즈니스를 혁신하고 있는 프런티어 기업은 이미 전체의 22%에 달했고, 이들 기업의 수익은 AI 도입이 늦은 기업보다 3배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자레드 스파타로 최고마케팅책임자(CMO)는 2028년까지 등장하게 될 에이전트가 13억 개에 달한다는 IDC 자료를 인용하며 "오늘날 모든 기업은 인간이 이끌고 (AI) 에이전트가 운영하는 '프런티어 기업'으로 가는 여정에 있다"고 강조했다.
MS는 지난해 이그나이트 행사에서도 AI 에이전트를 앞세웠지만 당시는 그 잠재력을 제시하는 수준이었다면, '비전을 기업의 영향력으로 전환하기'라는 구호를 내건 올해 행사에서는 AI 에이전트가 업무의 상당 부분을 대신할 수 있다는 점을 부각하고 있다.
이와 같은 MS의 AI 전략 변화는 이번 행사 라인업에서도 감지된다. 매년 행사의 문을 열었던 사티아 나델라 최고경영자(CEO)가 빠지고 대신 최근 상업 부문 CEO로 보임한 저드슨 알토프가 기조연설을 맡았다.
MS가 AI 전략의 초점을 새로운 기술과 비전 제시에서 기업 등 고객의 채택 확대 유도로 전환하고 있다는 신호로 풀이된다.
이제는 AI가 연구가 필요한 신기술이라기보다 실제 기업에서 이용할 수 있는 핵심적인 요소가 돼가고 있다고 MS가 판단한 셈이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AI의 종목 이야기] 마이크로소프트, AI 에이전트 통합 관리 플랫폼 출시](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
![[인터뷰] 이수용 지티원 대표 “AI 워크벤치, 기업의 신뢰 인프라로...AI 거버넌스 선도 모델로 키울 것”](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1/12/news-p.v1.20251112.f5760d244c854a6b82b36421b571ad10_P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