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제21대 대통령 선거를 앞두고 울산의 선거인 수가 93만4140명으로 집계됐다. 이 중 50대 유권자가 21.5%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으며, 그 뒤를 60대(18.9%)와 40대(18.3%)가 이었다. 특히 눈길을 끄는 점은 20대 유권자 수가 70대 이상보다 적어졌다는 것이다. 이는 고령 유권자 비율이 점점 더 확대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정치의 본질은 유권자의 삶을 개선하기 위한 방향 설정이다. 유권자 구성의 변화는 정책 결정의 우선순위를 바꾸는 주요 요인이 되며, 결과적으로 특정 세대에 대한 정책 편중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고령층 유권자가 다수를 차지하게 되면, 자연스럽게 정치권은 그들의 요구에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밖에 없다. 반대로 청년층의 참여율이 저조하고, 수적 기반마저 줄어들게 되면 이들의 목소리와 정책 등도 밀려날 가능성이 커진다.
문제는 이러한 비중의 차이가 곧바로 세대 간 불균형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점이다. 사회 전반의 지속가능성을 고려한다면, 고령층뿐 아니라 청년층을 포함한 모든 세대의 요구가 균형 있게 반영돼야 한다. 특히 청년 세대는 노동시장 진입, 주거, 교육 등에서 현실적인 어려움을 겪고 있음에도 정치적 발언권이 줄어들 수 있는 현실에 당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도 이제 미래를 함께 설계해야 하는 폭넓은 책임감을 가져야 한다. 유권자 구조의 변화를 정확히 읽고, 세대 간 조화를 이룰 수 있는 정책과 비전을 제시해야 할 시점이다. 아울러 청년 유권자의 정치 참여를 높이기 위한 제도적·문화적 장치 마련도 시급하다.
울산은 이번 선거가 세대 간 불균형을 해소하고, 포용적 정치로 나아가는 계기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저작권자ⓒ 울산종합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