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영재의 스포츠 인사이드] 미리 보는 프로야구 포스트시즌

2025 프로야구 KBO리그가 포스트시즌에 접어들었다. 올해 가을야구에 초대받은 팀은 정규리그 1~5위인 LG 트윈스, 한화 이글스, SSG 랜더스, 삼성 라이온즈, NC 다이노스다. 야구팬들의 관심은 어느 팀끼리 한국시리즈(KS·7전 4선승제)에서 만나 누가 우승할 것인가에 쏠려 있다.
포스트시즌은 4-5위끼리 맞붙는 와일드카드 결정전부터 시작해 계단식으로 올라가 준플레이오프(준PO)-플레이오프(PO·이상 5전 3선승제)-KS 순으로 진행된다. 따라서 KS에 선착해 기다리고 있는 LG가 가장 우승에 근접한 건 사실이다. 그 다음이 PO에 올라가 있는 한화다. 통계로 볼 때도 정규리그 1, 2위 팀이 KS에서 맞붙어 1위 팀이 우승한 경우가 가장 많다.
KS에 선착한 LG, 통계상으로 유리
그렇다면 LG와 한화가 KS에서 만난다는 가정 하에, 두 팀의 우승 확률은 어느 정도 될까. 방대한 야구 데이터와 지식으로 무장한 챗GPT에게 물어보기로 했다. 물론 ‘인간 전문가’들의 예상도 함께 취재했다. AI는 무엇을 근거로 어떤 결론을 내렸으며, ‘사람’은 AI와 얼마나 어떻게 다른 방향으로 승패를 예측할까.

챗GPT에게 수십 차례 질문을 ‘돌려깎기’ 해서 얻은 결과를 정리했다(어떤 질문을 했느냐에 따라 결과 값은 달라질 수 있다).
AI분석
Q 잠실 LG 홈에서 1, 2, 6, 7차전, 대전 한화 홈에서 3, 4, 5차전이 열려. 1~3차전 선발투수 매치업을 치리노스-폰세, 톨허스트-와이스, 임찬규-류현진으로 간다고 했을 때 두 팀의 예상 승리 확률을 알려줘.
A 좋아. 결론부터 말하면 LG 우승 확률 55.3%, 한화는 44.7%야. 중립 기준 총체적 전력은 LG가 0.55로 앞서. 홈 어드밴티지는 ±0.04로 똑같아. 선발 매치업에 따른 조정을 해보면 치리노스보다 폰세가 0.06 높고, 와이스도 톨허스트보다 0.03 높아. 류현진도 임찬규에 0.02 앞서지. 4차전을 불펜 데이라고 보면 선발 우위가 없고, 5~7차전도 1~3차전과 같아. 경기별 승률 벡터(LG 기준) [0.53, 0.56, 0.49, 0.51, 0.45, 0.56, 0.57]를 넣어 7전4선승 계산을 돌리면 LG 55.3%가 나와.
Q 잠깐. 두 팀의 정규시즌 마지막 경기(9월 29일)에서 한화가 7-3으로 이겼어. 올 시즌 한화에 엄청 강했던 임찬규가 패전투수가 됐고, 한화 신인 정우주는 선발 3.1이닝 무실점 호투했어. 한화 불펜진과 마무리도 안정감을 줬지. 이 결과가 시리즈에 영향을 주지 않을까?
A 맞아. 정우주가 롱 릴리프 역할을 하고, 불펜진과 마무리 김서현이 안정감을 준다면 1, 2차전 한화의 승률이 올라갈 거야. 3차전(류현진-임찬규) 한화 우세도 커지겠지. 그걸 감안해서 다시 뽑아보자. 새 벡터로 시뮬레이션하면 LG 49.8%, 한화 50.2%로 근소하지만 역전이 됐네.
Q 글쎄. 한 경기 결과가 그렇게 큰 영향을 줄까? 어쨌든 이제부터는 분야별로 살펴보자. 우선 투수력을 비교해 줘.
챗GPT는 이때부터 ‘뻘짓’을 시작했다. 이미 팀을 떠난 고우석·진해수 등을 LG 투수 명단에 넣은 것이다. ‘이게 뭐냐’ 했더니 ‘최신 로스터가 아니라 2023년 버전을 썼다’고 실토했다. 다시 올린 자료에도 한화 마무리를 장시환으로 표기했다. ‘한화 마무리가 왜 김서현이 아니고 장시환이야? 너를 믿을 수가 없어’라고 야단을 쳤더니 그제야 정신을 차린 듯 7분50초간 열심히 자료를 찾고 비교해 다음과 같은 답을 내놨다.
A 투수력은 확실히 한화가 앞서네. 선발 89-84, 불펜 85-79, 마무리 90(김서현)-84(유영찬)로 나와.
Q 오케이. 그럼 공격력, 수비력, 주루능력, 작전수행능력 등도 비교해 보자.
A 좋아. 공격력은 기본 타율, 장타율, 득점권 타율, 벤치멤버 타율 등을 넣어서 돌려보니 87.4-83.6으로 LG가 우세야. 수비력은 LG가 85-82로 낫고, 주루능력은 한화가 88-80으로 앞서. 감독 작전능력(88-82), 선수 작전수행능력(85-80)은 모두 LG가 우위야.
Q 좋았어. 여기에다 한화의 PO로 인한 마이너스 요소, LG의 가을야구 경험 등을 포함해서 점수를 만들어 줘.
A 기본 전력(괄호 안은 가중치·%)인 투수(40), 공격(20), 수비(25), 주루(15)를 합치면 한화가 84.8 대 83.9로 살짝 우세야. 여기에 PO 소모(한화 -1.2), 가을야구 경험치(LG +1), 감독+선수 작전역량(LG +0.5)을 더하면 LG가 85.4 대 82.1로 역전을 해. 최종 사용 벡터[0.53, 0.58, 0.47, 0.52, 0.45, 0.555, 0.565]를 적용하면 LG가 4승2패로 시리즈를 끝내고, 우승확률은 LG 55.3%, 한화 44.7%로 나오네. 4차전 선발로 손주영-문동주가 나와도 이 수치는 크게 바뀌지 않아. 내가 처음 제시했던 확률과 똑같지?
나는 “수고했어. 고마워”라고 인사했고, 챗GPT는 “가을야구 충분히 즐겨”라고 화답했다.
인간 전문가 분석
AI가 데이터와 통계 기반으로 승패 예상을 내놨다면 ‘인간 전문가’들은 자신들의 경험을 바탕으로 ‘짜임새’ ‘분위기’ 등등 수치로 계량화 하기 힘든 요소들을 강조했다.
SK 와이번스(2018년)와 SSG 랜더스(2022년)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이끌었던 류선규 전 단장은 “당연히 LG가 이긴다”고 했다. 그는 “큰 경기에서는 경험이 매우 중요하다. 한화는 가을야구를 경험해 본 선수가 몇 명 안 된다. 어느 팀이나 경기력에는 기복이 있기 마련인데 베테랑들은 팀이 처져 있을 때 다시 끌어올리는 법을 알고 있다. 올 시즌 롯데가 잘 나가다가 막판에 망가진 이유도 팀의 중심을 잡아줄 베테랑과 중견 선수층이 부족했기 때문이다. 그런데 LG는 고참-중견-신예의 조화가 거의 완벽하다”고 말했다.
그는 “솔직히 2023년 한국시리즈 우승 당시보다 현재 LG의 전력이 낫다고 볼 수 없다. 당시엔 8명 불펜이 모두 필승조라고 할 정도였다. 불펜은 좀 낮아졌지만 대신 지금은 타선의 짜임새가 좋다. 센터 라인 수비진(유격수 오지환,
2루수 신민재, 중견수 박해민)의 견고함도 한화보다 낫다. 4승1패 또는 4승2패로 시리즈가 끝날 거라고 본다”고 전망했다. LG의 레전드 타자 출신인 박용택 KBS 해설위원은 “LG와 한화의 매치업이 성사된다면 ‘폰세 시리즈’가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폰세는 올해 KBO리그로 건너와 17승1패, 평균자책점 1.89, 탈삼진 252개로 투수 4관왕을 달성했다.
마무리 투수 활약 따라 희비 엇갈릴 듯
박 위원은 “폰세가 1차전에 등판할 수 있다면 시리즈는 50 대 50으로 팽팽할 것이고, 폰세가 PO에서 두 번 나오는 바람에 1차전 선발이 어렵다면 60 대 40, LG 쪽으로 기울 것으로 본다. 2018년 준PO가 마지막 가을야구였던 한화는 큰 경기 경험이 적은 게 약점으로 지적되는데 오히려 겁 없이 덤빌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작용할 수도 있다. LG는 모든 선수들이 알아서 자신의 야구를 할 수 있다는 점이 돋보인다. 한화에 비해 떨어지는 지점은 외국인 선발 원투 펀치다”라고 분석했다.
박 위원은 이번 시리즈의 최대 변수로 두 팀의 마무리 투수를 꼽았다. 그는 “LG 유영찬도, 한화 김서현도 시즌 동안 불안한 모습을 노출한 적이 있다. 이들이 흔들릴 때 받쳐줄 자원이 얼마나 탄탄하게 준비됐는지가 중요하다. 또 한국시리즈 같은 큰 경기에서는 늘 ‘미친 선수’가 나오곤 한다. 이번에는 한화 신인 투수 정우주를 주목하고 싶다. 선발이 초반에 무너졌을 때 정우주가 깜짝 등장해 팀을 끌고 나가는 ‘게임 체인저’가 될 수 있다면 한화에 좀 더 높은 점수를 줄 수 있다”고 말했다.

정영재 칼럼니스트. 중앙일보·중앙SUNDAY 스포츠 기자 출신 칼럼니스트. 2013년 스포츠 기자의 최고 영예인 ‘이길용체육기자상’을 받았다. 현재 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있으며 『스포츠 다큐: 죽은 철인의 사회』 등 저서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