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해선 잇단 고장에 철도노조 "철도공단 전문성 없다" 비판…공단 "허위 사실"

2025-10-29

사고 차량 제작 결함 의혹 확산

노조 "운행 즉시 중단·전면 교체해야"

공단 "전문조직 통해 대응 중"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서해선 전동차의 차량 연결기 파손 사고가 또 발생하면서 안전 논란이 재점화됐다. 발주처인 국가철도공단과 차량 소유주인 국토교통부는 부랴부랴 후속 조치에 나섰다.

29일 국가철도공단은 연결기 파손 사고가 발생한 서해선 전동차에 대해 전수 조사를 실시하고 있다고 밝혔다.

지난 22일 안산선 신길온천~안산 구간 상본선에서 운행 중이던 서해선 전동차의 차량 연결기가 파손되며 차량이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했다. 당시 승객이 없어 인명 피해로 이어지진 않았으나, 긴급 안전 조치로 지난 24일부터 원시역~대곡역 구간 열차가 시속 40㎞ 이하로 운행됐다. 28일부터는 전체 62회 중 20회가 대곡역까지만 운행하는 방식으로 일정이 다시 조정됐다.

파손된 차량은 열차 제작사 다원시스가 제작한 것으로, 국토부가 소유하고 국가철도공단이 발주했다. 제작된 지 3년밖에 되지 않아 제작 결함 의혹을 받고 있다. 지난 6월에도 동일 차량에서 연결기 파손 사고가 발생한 바 있다. 당시 다원시스와 공단이 검사를 진행했지만 이상이 없다고 결론 내린 뒤 동일한 사고가 반복된 셈이다.

노조는 서해선 사업 구조 자체가 안전 관리의 사각지대를 키웠다고 주장했다. 철도노조는 최근 성명서를 내고 "서해선 차량은 운영사가 아닌 철도공단이 발주했고 차량은 국토부 소유이며 운영은 민간에서 코레일로 위탁되는 다중 구조"라며 "결국 정비 역량이나 품질 검증 체계가 부재한 상태에서 차량이 납품됐다"고 말했다.

이어 "안전 책임 주체가 불분명한 상황에서 시민이 위험에 노출됐다"며 "동종 차량(10편성)의 연결기 전체가 위험하다는 사실이 확인된 만큼, 즉각 운행을 중단하고 전수 교체에 착수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공단은 발주자로서 하자 조치계획을 수립하고, 시민 안전을 최우선으로 끝까지 책임 있게 대응하겠다고 강조했다. 공단은 차량 정비 역량이 전무하고, 차량 품질을 인증하거나 검증할 차량기술센터가 없다는 노조 지적은 반박했다. 공단 관계자는 "철도 차량 관련 전문 조직을 운영 중이며, GTX(수도권 광역급행철도)-A 노선·호남고속 등 주요 사업 수행 경험을 보유한 전문가로 구성돼 있다"고 해명했다.

국토부 또한 시정 조치를 검토 중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현재 연결기 등 문제 부품을 중심으로 수시 검사를 진행하고 있다"며 "사고 가능성이 있는 부품에 대해서는 행정 처분 등을 고려하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