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청년일보 】 지난해 자영업자들의 매출, 순이익 등 전반적인 사업 실적이 크게 악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경제인협회가 지난달 20일부터 이달 7일까지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자영업자 500명을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들의 순이익은 전년 대비 13.3% 줄어들었다고 25일 밝혔다.
이는 응답자들이 밝힌 순이익 증감 폭을 산술적으로 평균 낸 값으로 순이익이 감소했다는 응답 비율은 72.0%, 증가했다는 응답은 28.0%를 각각 기록했다.
매출의 경우 응답자 72.6%가 전년 대비 감소했다고 답했으며 평균 변동 폭은 -12.8%로 집계됐다.
올해도 순이익과 매출이 감소할 것이라는 대답은 각각 62.2%, 61.2%로 조사됐다. 예상 감소 폭은 순이익이 7.2%, 매출이 6.5%였다.
자영업자에게 가장 큰 부담은 원자재와 재료비(22.2%)였다. 이어 인건비(21.2%), 임차료(18.7%), 대출 상환 원리금(14.2%) 등 순이다.
폐업 관련해서는 응답자 43.6%가 향후 3년 이내 폐업을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8.2%),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8.1%), 자금 사정 악화·대출 상환 부담(18.1%), 임차료·인건비 등 상승(11.9%), 원재료 가격 상승(11.9%) 등의 답변이 있었다.
경기회복 전망 시점에 대해서는 올해 하반기(25.8%)가 가장 많았고, 이어 내년 상반기(24.4%), 내후년 하반기(17.8%) 등으로 집계됐다.
올해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경기침체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34.9%)이 1위로 꼽혔다. 이외 원부재료 매입비 부담(24.0%), 임차료·세금·수수료 부담(12.3%), 대출 상환·금리 부담(11.6%), 인건비 부담(9.1%)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필요한 정부 대책에 대해선 대출 상환 유예 등 금융지원 확대(22.1%), 소비 촉진방안 확대(20.9%), 원부자재 가격 등 물가 안정화(14.0%), 임대료 지원 강화(11.7%), 공공요금 인상 억제·인하(10.5%) 등으로 조사됐다.
이상호 한경협 경제산업본부장은 "가계의 소비 펀더멘털이 악화하고 내수가 얼어붙어 수많은 자영업자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며 "금융지원을 강화하고 원부자재 가격 안정과 소비 촉진방안을 강화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번 조사는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패널조사 방식으로 이뤄졌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4.38%포인트다.
【 청년일보=신현숙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