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줌] 장미꽃 키우는 청년 농군, 정상용 대표

2025-02-24

“화훼농사는 단순한 꽃 생산을 넘어서 시장 트렌드와 기후 변화, 기술 발전을 지속적으로 반영해야 하는 복합적인 산업임을 실감하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변하는 환경 속에서 혁신과 체계적인 관리가 농산업의 미래를 좌우할 것입니다.”

지난해 11월 농림축산식품부가 주관한 ‘제29회 농업인의 날’ 국무총리표장을 받은 ㈜레알파머스 정상용(39세) 대표.

정 대표는 부친인 장수화훼영농조합법인 정화영 대표의 대를 이어 장수군 화훼 농업을 주도하고 있는 청년 농군이다. 그가 화훼 산업에 전적으로 몸담게 된 데에는 아버지의 영향이 크다.

정 대표는 원래 건축학도를 꿈꾸며 대학 진학을 준비했지만, 아버지가 화훼산업에 대한 비전을 설명하며 지역에 정착할 것을 제안했다.

어린 시절 부모님이 하시던 화훼농사에 대한 거부감이 없던 그는 자연스레 화훼의 길로 들어선다. 그해 한국농수산대학교 화훼학과에 진학해 2008년 졸업 후 12년간 장수화훼영농조합에서 실무를 쌓으며 업계의 기초부터 배웠다.

초기에는 아버지의 선택 하에 식재된 품종의 시행착오로 큰 손해를 입기도 했지만, 다양한 품종을 재배하며 “이런 꽃잎과 품질이면 우리 농장에서 잘 자랄 것”이라는 자신만의 기준을 세웠다.

이윽고 2020년, 13,223㎡(4000평)의 부지에 온실을 갖춘 주식회사 레알파머스를 설립하고 독자적인 경영에 나선 정상용 대표. 그의 농장은 단순한 꽃 생산 현장을 넘어, 세계 시장의 동향과 기술 발전을 반영한 실험장이 되었다.

매년 네덜란드에서 열리는 국제화훼무역박람회(IFTF)에 직접 참석해 글로벌 기업들의 신기술을 접하고, 새롭게 선보이는 품종을 시험 생산하며 소비자의 요구를 발 빠르게 충족하고 있다.

그는 무엇보다 “작년부터 에콰도르, 캄보디아, 케냐, 중국 등지에서 저렴한 절화가 급격히 유입되면서 국내 화훼농가에 위협으로 다가오고 있다”고 우려하며 “저온, 비가림 조건에서 120일 내외로 자라는 꽃들이 치고 들어와 품질은 낮지만 가격 경쟁력으로 소비자들을 끌어들이고 있다”며 코로나 이후 가격 급등과 수입산의 확대가 국내 시장을 잠식할 위험을 경계한다. 또한 “가격이 너무 높으면 소비자들이 멀어지고, 수입산이 점령하면 국내 농가에 피해가 갈 것”이라고 토로했다.

정상용 대표는 단순히 꽃을 키우는 일을 넘어, 변화하는 환경 속에서 지속 가능한 경영과 품질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의지가 확고하다. 혁신과 체계적인 관리, 그리고 글로벌 트렌드를 접목하려는 그의 모습에서 국내 농산업을 주도할 젊은 농군의 표본으로 밝은 미래를 보았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줌] 장미꽃 키우는 청년 농군 #㈜레알파머스 정상용 대표

이재진 gglee66@gmail.com

다른기사보기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