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금융사고에 신뢰 회복 급선무…책무구조도 안착해야 [기자수첩-금융증권]

2024-10-20

신한證 1300억 손실 사태로 증권업계 불신 증폭

내부통제 강화 노력에도…부실 리스크만 또 부각

투명성 제고·피해자 구제 등 구체적인 대책 절실

최근 신한투자증권에서 발생한 1300억원 규모의 손실 사건으로 증권업계를 둘러싼 불신이 다시 한 번 커지고 있다. 지난해 소시에테제네랄(SG)발 하한가 사태, 영풍제지 주가 조작, 홍콩 주가연계증권(ELS) 사태 등에 이은 대형 금융사고가 반복되면서다.

올 들어 증권사들이 내부통제 강화를 핵심 경영 키워드로 내세우던 중 발생한 사고라는 점에서 신뢰는 떨어질 대로 떨어지고 말았다. 증권업계 전반의 내부통제 부실 리스크와 신뢰 추락도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

금융투자업계에 대한 신뢰가 바닥까지 추락한 만큼 책무구조도 마련 및 적용이 시급한 상황이다. 책무구조도는 내부통제 부실로 인한 금융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감독 강화책이다. 횡령·배임·불완전판매 등 금융사고가 발생하면 업무 연관성에 따라 내부통제 책임을 최고경영자(CEO)에게까지 사전에 지정해 금융사고를 예방하는 게 핵심이다.

증권사를 포함한 금융권의 책무구조도는 내년부터 본격 도입된다. 이에 따라 내년부터 책무구조도가 시행, 증권사는 내년 정해진 제출 기한까지 금융당국에 이를 제출해야 한다.

현재 증권사들은 책무구조도 도입을 앞두고 내부통제 관련 조직을 확대하거나 대형 법무법인과 연계하는 등 선제적인 내부통제 강화에 힘쓰고 있다. 스스로 내부통제 역량 강화에 나섬으로써 신뢰 회복에 힘쓰겠다는 목표다.

하지만 신한투자증권에서 이번 금융사고가 터지면서 그동안 쌓아온 노력이 무색해진 실정이다. 신한투자증권이 리스크 관리를 위한 조직개편 및 시스템 강화 등의 행보로 업계에서 선도적인 내부통제 강화에 나섰던 만큼 타격은 더 크다.

이처럼 대형 금융사고가 이어지는 분위기 속 핵심은 단연코 책무구조도 도입의 구체화다. 내부통제의 예측 가능성을 높이고 투명성 제고하기 위해서는 실용적이고 강도 높은 대책의 등장이 요구된다. 투자자들이 피해로부터 손쉽게 구제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라도 필수적이다.

무엇보다 잦은 금융사고에 연일 휘말려 불신을 사게 된 증권사들이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이는 게 우선적으로 요구되는 시점이다. 책무구조도가 도입 취지에 맞게 시장과 회사에 정착함으로써 곤두박질 친 업계 신뢰를 회복하는 발판이 되길 기대해본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