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세금융신문=구재회 기자) 국내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 개선세가 더디고, 주택담보대출을 중심으로 가계부채가 빠르게 늘어나 한국 금융 건전성에 부담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현대경제연구원은 9일 '국내외 금융리스크 점검과 시사점'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올해 6월 말 기준 유의·부실 우려 부동산 PF 익스포저(위험노출액) 규모는 20조8천억원으로, 지난해 말(19조2천억원)보다 1조6천억원 증가했다.
유의·부실 우려 사업장의 약 52.7%(12조6천억원)가 지난 1년 동안 재구조화·정리됐지만 건설경기 부진, 지방 부동산 침체 등으로 인해 개선 속도가 더딘 상황이다.
여기에 부동산시장 불안으로 주택담보대출이 빠르게 불어나고 있다는 점도 부담이다. 올해 2분기 기준 주담대 잔액은 1천148조원으로, 7분기 연속 전년 대비 5∼6% 증가세를 이어갔다.
연구원은 "정부의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으로 주담대 증가세가 둔화하겠지만, 주택 매수자들이 신용대출 등 비담보대출까지 추가로 활용할 경우 금융 건전성이 악화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주담대를 포함한 전체 가계부채 규모는 지난 2분기 말 기준 1천953조원으로 집계됐다. 경제 규모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 감소세지만, 여타 국가보다는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올해는 1%대를 웃돌면서 부실화 우려가 확대됐고, 자영업자 대출 연체율도 상승세다.
연구원은 "금융시스템 전반의 안정성을 제고하기 위해 선제적인 위험 관리와 취약부문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연구원은 대외 금융 위험 요인으로 ▲ 글로벌 달러 약세 ▲ 유럽 재정 불안 ▲ 엔화 변동성 우려를 꼽으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조세금융신문(tfmedia.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문가 “韓 부동산세 OECD 32위…거래세 완화 시급” [AI 프리즘*부동산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8/2H0DH0CQZR_1.jpg)

!["이탈 자금 잡아라" 금융권, 고금리 특판상품 경쟁 ‘치열’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8/2H0DGH9F0W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