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지학의 창시자인 루돌프 슈타이너(Rudolf Steiner)는 ‘예술이 삶으로부터 분리되어 있으면, 삶은 예술적 형태로 격상될 수 없다‘고 말하며, 예술과 삶의 일치를 강조했다. 2020년부터 김제시 광활면 용평 마을에서 진행되고 있는 초고령자 대상 커뮤니티 아트 프로젝트는 일상 속 예술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직면한 노인의 사회적 고립과 세대 공존에 대안을 제시한다.
2018년, 104세의 나이로 조력 죽음을 선택한 호주의 생태학자 데이비드 구달 박사는 “ 100세를 넘긴 뒤에는 삶에서 더 이상 기쁨을 얻지 못했다.”라고 토로했다. 그는 연구, 강의, 봉사 같은 사회적 의미와 연결된 역할이 줄면서 존재의 목적이 약화됐고, 목표감의 상실은 삶의 만족도를 흔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노화를 질병이 아닌 자연적 한계로 바라보며 “건강이 점점 나빠져 나를 불행하게 만드는 일은 안되는 편이 나을 것 같다.”라고 말하며 조력 죽음을 택했다. 그의 말은 우리가 고령자의 삶을 ‘연장’이 아닌 ‘의미의 복원’이라는 관점에서 다시 바라봐야 함을 시사한다. 우리는 “내가 여기에 필요하다”라는 경험의 결핍을 쉽게 마주한다. 김제시 용평 마을에 사시는 1932년생 곽귀선 할머니는 “고민은 나 세상 가는 거. 그게 고민이야. 나이가 많은 게 저녁 먹고, 그냥 아무도 몰래 조용히 가는 게 그게 소원이여.”라고 말한다. ‘내일모레 죽을 사람’이라는 말을 입버릇처럼 반복하는 어르신들에게서 삶의 기대감은 무엇으로 회복할 수 있을까?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을까? 곽 할머니는 과거를 회상하며 “내가 노래 부르는 것을 징그럽게 좋아했어. 얼마나 좋아했으면 화장실 가서도 하고 그러겠어. 그렇게 노래를 좋아했어. 지금은 싫어. 그렇게 좋아하는 노래를 다 잊어버리고 하나도 몰라. 아주 바보 되어버렸어.”라고 말했다. 글을 모르시기에 귀로 익혔던 노랫가락은 기억 속에서도 사라졌다.
이랑고랑은 2023년, 역할을 필요로 하는 그림자 연극을 기획했다. 어르신들의 인생사를 재구성한 ‘광활한 사랑’은 정확한 대사보다 자신의 차례를 기억하고 감정을 발산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지나간 세월은 언제나 만족스러웠다는 말로 함구하는 어르신들의 속내를 끌어내기 위해 타로 카드를 활용했다. 타로카드를 다룰 줄 아는 예술가는 없었지만, 해석보다 중요한 것은 마음을 열게 하는 장치였다. 어떤 카드가 나와도 꿈보다 해몽으로 해석하니, 어르신들은 저마다 이 집 용하다며 웃음 지었다. 그렇게 모인 이야기들은 연극 대본을 만드는 씨앗이 되었다. 윤리적 고민 끝에 완성된 대본을 받은 어르신들은 내용보다 대사의 분량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곽 할머니는 동년배 할머니를 딸로 생각하며 “오냐”라고 읊어야 하는 대사 웃겨 몇 번을 다시 찍었음에도 “겁나게 재밌었어. 이번 여름은 어떻게 지나갔는지도 몰라. 기분이 참 좋았어. 이게 누구 덕분이여?”라고 말했다. 슈타이너는 예술과 삶을 교배하여 사회를 변화시키기 위해서는 사회 구성원이 자신을 스스로 관리할 수 있어야 한다고 보았다. 용평 마을에서 펼쳐지는 프로젝트는 고령자가 존중받는 주체로 다시 설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삶이 길어지는 시대, “나는 아직도 필요하다”라는 감각이 있다면, 노년의 하루가 기쁨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며 예술이 무엇을 할 수 있는지를 다시금 되새겨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커뮤니티 아트
전북일보 opinion@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