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해 전국에서 발생한 낙뢰는 14만5000여회에 달했다. 최근 10년(2015∼2024년) 평균치 10만1000여회보다 약 44% 증가했다. 전년도와 비교하면 무려 99% 늘어난 수치다.
기상청은 2024년 한 해 동안 우리나라에서 관측된 낙뢰 정보를 종합, 이같은 내용이 포함된 ‘2024 낙뢰연보’를 발간했다고 30일 밝혔다.

연보에 따르면 지역별로는 경상북도가 2만2780회로 전국 낙뢰의 16%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경기도(2만1742회), 경상남도(1만9649회)가 그 뒤를 이었다. 반면, 광주광역시는 673회로 가장 적게 관측됐다.

계절적으로는 전체 낙뢰의 약 84%가 여름철(6~8월)에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최근 10년 평균과 비슷한 경향이다. 하지만 6월에는 평균보다 적게 관측됐고, 9월에는 상대적으로 많이 관측돼 월별 특성은 최근 10년과 다소 차이가 있었다.
낙뢰가 가장 많이 발생한 달은 8월로 6만3537회(약 44%)가 관측됐다. 특히 8월 5일은 하루에 지난해 낙뢰의 약 19%(2만7431회)가 관측돼 연간 낙뢰가 가장 많은 날로 기록됐다.


장동언 기상청장은 “낙뢰가 집중되고 야외활동이 증가하는 여름철에는 국민들이 낙뢰 위험에 많이 노출될 수 있어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며 “평소 안전 행동 수칙을 숙지하고, 기상청에서 제공하는 실시간 낙뢰 정보를 꼼꼼히 확인해 낙뢰 시에는 야외활동을 자제하는 것이 중요하다”라고 당부했다.
‘2024 낙뢰연보’는 기상청 홈페이지(www.kma.go.kr) 자료실에서 PDF 파일로 내려받을 수 있다.
조문규 기자 chomg@joongang.co.kr
이 기사는 구글 클라우드의 생성 AI를 기반으로 중앙일보가 만든 AI 시스템의 도움을 받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