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순방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3일(현지시간) 시리아에 대한 미국의 제재를 해제하겠다고 선언했다. 이란에 대해선 핵 개발 중단을 촉구하는 동시에 “영원한 적”은 없다면서 협상 참여를 압박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아라비아 리야드에서 열린 사우디·미국 투자포럼 연설에서 시리아에 대한 제재 해제를 공식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아사드 독재정권에 대한 미국의 제재에 대해 “가혹하고 파괴적이었으나 중요한 기능을 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제 그들(시리아)이 빛을 발할 때”라며 “시리아에 행운을 빈다. 우리에게 뭔가 특별한 것을 보여달라”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14일 사우디에서 아메드 알샤라 시리아 과도정부 대통령과 짧게 만날 예정이라고 백악관 관계자는 말했다. 또한 마코 루비오 국무장관과 시리아 신임 외교장관은 이번주 후반 튀르키예에서 회담할 예정이다.
미국의 대시리아 제재 해제로 반군 연합 지도자 출신인 알샤라 대통령이 이끄는 과도정부에는 힘이 한층 실릴 전망이다. 과거 이슬람국가(IS)와 알카에다 조직원으로 활동했던 그는 시리아 재건을 위해서는 미국의 제재 해제가 필요하다고 주장해 왔다. 미국 석유 및 가스 기업들이 시리아에서 사업을 시작하는 것에 대해서도 열려 있다는 입장을 밝혀 왔다.
트럼프 대통령은 시리아 제재 해제를 결심하는 과정에서 사우디 무함마드 빈살만 왕세자와 튀르키예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대통령의 설득이 영향을 미쳤다고도 했다. 그는 빈살만 왕세자를 바라보면서 “내가 왕세자를 위해 이런 일까지 한다”고 말했다.
다만 시리아 제재 해제는 의회 절차를 거쳐야 한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인 린지 그레이엄 공화당 상원의원(사우스캐롤라이나)은 “의회에서 통과된 제재 면제는 복잡한 절차”라며 “시리아의 새 행위자들에 권한을 부여하기를 원하지만, 이스라엘을 비롯해 동맹국들과의 공조에 기반해 진행되면서 수많은 안보 우려에 대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사우디를 향해 이스라엘과의 관계 정상화를 위한 아브라함 협정을 수용하라고도 촉구했다. 또한 이란을 겨냥해서 핵협상에 나설 것을 압박하며 “이 제안은 영원한 것은 아니다. 우리는 기다릴 수 있는 시간이 많지 않다”고도 말했다. 그는 이란이 핵무기 개발을 중단하지 않을 경우 “대규모 최대 압박”에 직면할 것이라고도 경고했다. 그러면서도 “나는 영원한 적이 있다는 것을 믿지 않는다. 사실 미국에 가장 가까운 친구 중 일부는 과거 세대에서 전쟁을 치렀던 국가”라며 이란과의 핵 협상 여지를 열어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