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차 박수무당, 원정 출산 돌싱녀…한국 사회 저격한 '이 소설'

2025-05-18

지난 3월 말 출간 이후 지금까지 교보문고, 예스24 등에서 국내소설 부문 베스트셀러 순위를 지키고 있는 『혼모노』에는 특별한 구석이 있다. 한강, 양귀자, 구병모 등 굵직한 이름의 베스트셀러 소설가 사이에서 빛나는, 등단 7년 차 31세 작가의 작품이라는 점이 그것이다.

책은 신기가 떨어진 30년 차 박수 무당의 이야기, 우연히 태극기 집회 노인들과 어울리게 된 재미교포의 하루, 원정 출산을 준비하는 돌싱녀의 이야기 등 한국 사회 면면을 담은 7개의 단편을 엮었다. 2024·2025 젊은작가상, 2024 이효석문학상 우수상 등을 수상한 작품들이다. 저자 성해나(31)와 지난 12일 전화로 대화를 나눴다.

표제작 ‘혼모노’는 신기가 떨어진 박수무당 문수의 영업장 앞에 갓 신내림을 받은 스무살 남짓의 신참 무당이 개업하며 시작된다. 자신의 신앙이 진짜라고 믿었던 문수의 이야기에 늙은 무당과 젊은 무당 사이의 갈등을 녹였다.

“‘혼모노’는 언젠가 꼭 쓰고 싶었던 이야기였어요. 원래 무속 신앙에 관심이 많았거든요. 어떤 이들은 점을 집착하듯 믿는 반면, 어떤 사람들은 완전한 사기로 여기잖아요. 무엇이 진짜고 무엇이 가짜인지, 진짜와 가짜를 완전히 분리할 수 있는지 질문하는 이야기를 만들고 싶었습니다”

그는 신당동에 놀러 갔다 우연히 점집 거리에 들어서면서 스토리를 구체화할 수 있었다고 했다. “무당들 사이의 이권 다툼은 없을까, 가짜 무당과 진짜 무당의 차이는 무엇일까 하는 상상”이 신참 무당 신애기와 박수 무당 문수 같은 캐릭터로 구체화됐다는 것.

다른 단편들도 현실과의 접점이 선명하다. 재미교포 듀이가 광화문광장에서 우연히 집회 인파에 휩쓸리며 시작되는 이야기 ‘스무드’를 쓰기 위해서 직접 집회에 참석하기도 했다. “현충일 집회에 마스크를 쓰고 들어갔어요. 그 안에서만 통용되는 ‘이승만 광장’, ‘열사’ 같은 단어들을 직접 들으면서 리얼한 디테일을 얻을 수 있었죠.”

‘길티 클럽’은 아동 학대 논란에 휩싸인 유명 영화감독을 여전히 지지하는 팬들의 이야기다. ‘악마의 씨’, ‘피아니스트’ 등 걸작을 남긴 영화감독 로만 폴란스키의 아동 성범죄 사건이 계기가 됐다.

“작품과 사람, 예술과 만행을 분리해서 보는 게 저한테는 쉽지 않더라고요. 그 고민이 제 안에서 오랫동안 계속 맴돌았던 것 같아요.”

그의 글쓰기 원칙은 “나와 거리를 둔 인물”에 대해 쓰는 것. “나와 전혀 다른 사람을 이해하는 과정이 곧 소설을 쓰는 과정”이기 때문이라고 했다. “자신과 밀착된 캐릭터를 쓰는 건 결국 자신을 이해하려는 행위이고…이걸 반복하는 건 자의식 과잉 아닐까요. 이해할 수 없는 타인을 이해하려는 시도가 저에겐 중요하거든요. 그게 소설을 읽고 쓰는 이유라고 생각해요.”

최근 소설가 엘리자베스 스트라우트를 비롯해 인류학자 조문영, 심리학자 마사 스타우트의 책을 즐겨 읽는다. “요즘엔 문학보다 인문서를 더 많이 읽는 것 같아요. 출산, 부양 같은 문제에 특히 관심이 많거든요. 앞으로의 계급 차이는 그런 데서 비롯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요.”

그는 “왜 이 소설을 써야만 하는가”라는 질문이 글쓰기의 출발점이라고 했다. “그게 나에게 중요하고, 우리 사회의 중심을 이루는 문제일 때 비로소 쓸 수 있어요.”

성해나는 독자들의 피드백을 동력 삼아 글을 쓴다. 스물다섯에 등단했지만 정작 등단 이후엔 “청탁도 없고 투고작도 반려돼 생계를 꾸리기 힘들었던 시기가 3년가량 있었다”고. 2024년 젊은작가상과 이효석문학상 우수상을 받은 ‘혼모노’도 그 시기 반려된 투고작 중 하나다.

“독자의 존재가 흐릿했을 때가 가장 힘들었어요. 책이 나오고, 독자들의 독려를 받고 하면서 많은 용기를 얻었죠. 그때서야 ‘이렇게 써도 되겠구나’ 하는 확신이 생겼습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