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병대 상징 ‘빨간명찰’, 니가 왜 거기서 나와”[이현호의 밀리터리!톡]

2025-08-14

지난 3월 27일 에릭 스미스(해병 대장) 미국 해병대사령관이 경기도 화성 해병대사령부 찾아 주일석 해병대사령관과 공조회의를 갖고 한미 해병대 연합작전 수행능력과 군사협력 강화 방안을 논의했다. 스미스 사령관은 지난 2023년 취임한 이후 첫 방한이다.

눈에 띄는 대목은 회의를 마치고 주 사령관은 70년이 넘는 한미 해병대만의 형제와도 같은 전우애를 위한 스미스 사령관의 헌신에 감사를 표하고 뛰어난 리더십과 비전, 강한 해병대 정신을 갖춘 지휘관이라는 의미를 담은 한글이름 ‘수한울’이 새겨진 해병대의 빨간명찰을 선물했다. 예상하지 못한 선물에 스미스 사령관은 거듭해서 감사의 뜻을 전했다고 한다.

빨간명찰은 해병대 일원만이 가질 수 있는 자부심의 상징과도 같다. 해병대 교육단에 입소하면 노란색 명찰을 달고 철모 위의 노란색 번호를 부여해 구분되지 않는 훈병 중 한 명이 된다. 한 달이 넘는 훈련 과정을 거치고 나야 비로소 빨간색 명찰을 달게 되고 해병대의 일원으로 탄생할 수 있다.

특히 “해병은 태어나는 게 아니라 만들어지는 것이다”라는 해병정신을 대변하기도 한다. 단순하게 무게는 한없이 가볍지만 그것이 주는 책임감은 때로는 감당하기 어려울 만큼 무겁다는 게 모든 해병대 일원의 공통된 생각이다. 이런 까닭에 해병대원들의 가슴에 부착된 빨간명찰을 뗀다 함은 그 대원에게는 명예적으로 사형 선고나 다름없는 처벌이다. 그래서 빨간명찰을 떼인 병사는 더 이상 해병의 일원이 아니라는 압박감에 죽은 목숨과 같은 치욕을 느끼곤 한다.

이처럼 한국 해병대는 ‘귀신 잡는 해병대’, ‘무적해병’로 통할 만큼 강한 군대로 미국에서도 유명하다. 이런 강한 군대의 오랜 역사와 가치가 새겨져 오직 일원이 돼야 수여 되는 각별한 의미가 담긴 빨간명찰을 받게 돼 스미스 사령관이 매우 기뻐해졌다는 후문이다.

이처럼 해병대의 정체성과 자부심을 상징하는 빨간명찰을 군 생활 중 전군 유일하게 해병대만이 가슴에 부착하는 게 아니라는 사실이 최근 알려지면서 온라인 커뮤니티를 뜨겁게 달구고 있다.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공군교육사령부가 지난 7월 14일부터 전국 11개 대학 3학년 학군사관후보생(ROTC) 217명을 대상으로 5주간의 하계 입영훈련을 시작한 모습의 사진이 올라왔다. 사격과 유격, 기지방어 등 실전적인 훈련과 함께 정신전력 교육도 병행되는 정기적인 훈련으로, 이 훈련에 참석한 후보생들의 군복에서 해병대와 동일한 빨간명찰이 부착된 것이 포착됐다.

“해병대의 빨간명찰은 피, 정열, 용기, 신의, 약동하는 젊음을 상징한다”, “해병대에서 빨간명찰을 달 수 있게 되는 건 해병으로서의 정신과 책임을 부여받는 해병 인증의 순간이다”, “단순한 색상의 선택 문제가 아니라 창설된 이후 75년 넘게 유지돼 온 해병대 고유의 전통으로 대한민국 해병대만의 징표” 등의 해병대를 거쳐간 것으로 보이는 해병대 예비역들의 불만이 빗발쳤다.

실제 각군 군복에 부착하는 명찰의 경우, 육군은 국방색 바탕에 검정 글씨, 해군은 국방색 바탕에 흰 글씨 또는 남색 바탕에 흰 글씨(함정복), 공군은 국방색 바탕에 파란 글씨 명찰을 착용한다. 유일하게 해병대만 빨간색 바탕에 노란 글씨 명찰을 부탁한다.

그러나 공군의 각 계층(장교·부사관·병)별 훈련 기간에 빨간명찰을 부착한 것은 20년이 넘게 오랜 기간 지속돼 왔다는 사실이다.

해병대 예비역, 공군의 빨간명찰 불만 많아

이런 사실과 관련한 논란에 대해 현재 해병대사령부도 인지하고 있다. 하지만 최초 인지가 늦은 탓에 지금은 마땅히 대응할 수 여지가 없는 실정이다. 해병대 예비역의 불만이 쏟아지고 있지만 해병대사령부는 공식적 입장도 내놓지 못하고 있다.

공군은 빨간명찰 부착에 대한 일부 불만의 목소리를 잘 알고 있지만, 특별하게 문제될 것이 없다는 입장이다. 이유인 즉 공군교육사령부 입영 훈련 때 학사사관 및 학군사관후보생은 빨간명찰을, 부사관후보생은 파란명찰을, 장병은 하얀명찰을 부착하는 게 오랜 관례라는 것이다.

공군 관계자는 “공군교육사령부에 입영 훈현을 하게 되는 계층별 훈련생들이 빨간명찰, 파란명찰, 하얀명찰 등을 구분해서 부탁하는 배경에는 단순히 시인성이나 훈련용 구분을 위한 조치로 별다른 의미가 없다”고 설명했다. 실제 공군 구성원은 평소에 공군사관학교 생도들도 포함해 모든 계층이 국방색 바탕에 파란 글씨 명찰을 착용하고 있다.

그럼에도 해병대 예비역들 사이에선 공군의 빨간명찰 부착에 대해 불만의 목소리가 높다.

각군 명찰의 색상 특징은 단순한 시각적 요소가 아닌 각군의 정체성과 자긍심을 표현인 만큼 공군교육사령부가 공군 장교후보생들에게 공군의 자긍심을 심어주려면 공군 고유의 상징 및 색상으로 디자인 된 명찰을 사용해야 한다고 지적하다.

한 해병대 예비역은 “각군 정체성과 전통은 결코 가볍게 여겨져서는 안 된다”며 “빨간명찰은 해병대만의 상징성이 강하기 때문에 공군은 타군의 상징을 빌릴 것이 아니라 훈련생에게 공군의 전통성을 심어줄 명찰 교체를 검토해야 한다”고 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