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침저녁 혼신을 다해 울어대던 매미는 어디선가 산산한 바람이 불어오면 초저녁 시간을 풀벌레들에게 양보한다. 풀벌레들이 작은 화단 속 쑥부쟁이·분꽃·강아지풀 사이에 숨어있다 한바탕 울고 나면 귀가 얼얼해진다. 그러다 밤하늘 별소리도 들릴 것 같은 깊은 밤 귀뚜라미들은 자신들만의 오붓한 대화를 시작한다. 늦여름 박력이 넘치는 매미 소리를 실컷 듣다 천 년의 피리, 만파식적(萬波息笛)을 타고 흐르는 것 같은 귀뚜라미 소리로 가을의 선선함을 느낀다.
귀뚜라미의 낮고 느린 소리를 들을 때면 ‘일부러 노래하려고 하면 어설프고, 그냥 말하듯 해야 좋은 노래가 된다’는 이탈리아 성악 경구가 생각난다. 자연스러운 저음은 상대방의 귀를 모으게 한다.
잘 듣는 일이 인식의 출발점
곤충 소리 듣다 마음의 귀 열려
상대 사정 잘 들을 때 갈등 풀려

보통 소리는 데시벨로 측정하지만 가청 음역은 헤르츠(Hz)를 쓴다. 대화를 할 때 가장 편안한 주파수는 300~800Hz라고 한다. 좋은 말도 이 주파수보다 높으면 귀에 거슬린다. 비즈니스에서 고음을 싫어하는 상대방에게 고음 일변도로 말한다면 결과는 낭패다. 고음에 너그러운 사람이 있기는 하지만 드물다.
우리는 눈과 귀로 정보를 얻는다. 눈과 귀는 같은 횡축선상에 있지만 듣는 것이 보는 것을 앞서는 경우가 많다. 여행지를 결정할 때도 “누가 그러는데 거기가 좋다고 하더라. 우리도 한번 가보자”라는 말처럼 듣는 것이 인식의 출발점이 된다.
일단 귀부터 사로잡고 보자는 노이즈 마케팅도 그런 이유에서 나왔을 것이다. 선거유세를 하는 후보자의 다급한 외침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눈과 달리 귀에는 꺼풀이 없고 늘 열려 있기 때문에 가려듣는 분별력과 판단력이 필요하다.
‘관상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분들도 ‘관상은 목소리로 완성된다’라는 주장을 한다. 호랑이는 포효(咆哮) 때문에 호랑이로, 사자는 사자후(獅子吼)로 사자 대접받는 것이다. 인간에게 목소리만큼 중요한 것이 말투나 말버릇이다. 징징거리는 말투나 비아냥거리는 말투, 우는 것 같은 말투, 불만이 섞인 말투는 타인의 감정을 어둡게 만들어 말한 사람을 꺼리게 만든다. 결국 부정적인 말버릇은 자신의 운과 기회를 갉아먹는다. 반대로 맑고 깨끗한 저음은 상대방의 마음을 편하게 만들어 호감을 갖게 한다.
낮고 청아한 귀뚜라미 울음소리는 우리 마음을 안정시키고 마음의 귀를 열게 한다. 마음의 귀가 열리면 낙엽 떨어지는 소리도 듣고 사무치는 그리움도 느끼게 된다. 옛사람들은 귀뚜라미 울음소리를 듣고 마음의 귀가 열리는 것을 ‘가을 귀’가 트인다고 했다.
고려 때의 책 『동국이상국집』에는 궁녀들이 귀뚜라미를 키웠다는 내용이 나온다. 궁 밖 출입이 자유롭지 못했던 궁녀들은 어릴 적 고향에서 듣던 귀뚜라미 소리를 들으며 가족과 친구 생각에 눈물 적신 베개를 안고 서럽고 시린 마음을 달랬다. 그들에게 귀뚜라미는 불안하고 슬픈 마음을 보듬는 어머니 같은 곤충이었을 것이다. 그래서인지 오늘날 귀뚜라미를 ‘소울’ 곤충이라고 부른다.
귀뚜라미 이야기를 조금 더 해보자. 어릴 적 초저녁 귀뚜라미가 방안으로 들어와 우는 것을 보았다. 순간 귀뚜라미가 문틈으로 잘못 들어온 것으로 생각했다. 어떻게 할까 망설이다 귀뚜라미를 휴지로 덮어 밖으로 내보내주었다.
나중에 알고 보니 귀뚜라미를 배려한 나의 행동은 귀뚜라미의 구조 신호를 제대로 읽지 못한 탓이었다. 귀뚜라미는 초가을에는 풀숲에서 울다가 날씨가 쌀쌀해지면 햇빛이 깃들여져 있는 토방에 올라와 울고 이어서 마루까지 올라온다. 급기야 추운 날씨를 견디지 못하면 방안으로까지 들어온다. 자그만 상자를 찾아 배추 잎 한 조각이라도 넣어 조금 따뜻한 부엌에 거처를 마련해 주지 못한 것이 내내 후회된다. 귀뚜라미의 절박한 상황을 알지 못하여 가족의 품으로 귀환시키는 밑도 끝도 없는 ‘인도주의적’ 행동을 저지른 것이다.
사람도 관심 있게 보지 않으면 그가 놓인 처지를 알기 어렵다. 형편이 어려운 친구가 커피값 계산을 주저해도 비겁하게 보아 버린다. 타인의 사정을 모르면 귀찮아하거나 비난하기도 한다. 남의 사정을 제대로 이해해야 진정한 소통이 된다. 전쟁을 겪은 어른들의 소심한 잔소리도 그분들의 경험을 듣고 알아야 이해할 수 있고 세대 간의 갈등도 해소된다.
상대방에 대한 진한 공감과 이해는 마음의 귀를 뚫게 한다. 마음의 귀가 열린다는 것은 남을 치유까지 할 수 있는 최고급 능력이다. 마음의 귀가 뚫려야 들을 수 있고 말할 수 있다. 성인(聖人)의 성(聖)자에도 귀 이(耳)가 입 구(口)보다 먼저 나오지 않는가.
가을 귀를 열어보자. 어릴 적 운동회의 아우성이 들린다. 논두렁에서 참새떼를 쫓는 까맣게 그을린 농부의 외침이 들린다. 만경장터에서 한 소리꾼이 우는 듯 웃고, 말하듯 노래한다. 구성진 창이 그의 너름새에 얹혀 밤바람을 타고 실려 온다.
곽정식 수필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