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사능 안전한 거 맞아?"…日 도쿄 한복판에 후쿠시마 오염토 '또' 투입

2025-09-15

일본 정부가 원전 사고로 생긴 오염 토양을 정부 청사 화단에 직접 사용하면서 시민 불안이 커지고 있다.

교도통신 보도에 따르면 14일(현지시간) 일본 환경성·경제산업성·부흥청이 자리한 도쿄 가스미가세키 청사 화단에 약 45㎥의 제염토가 반입돼 다져졌다. 경제산업성 건물 주차장 앞 화단에는 55㎝ 깊이까지 오염토를 채우고 비산을 막기 위해 일반 흙을 20㎝ 두께로 덮는 공정이 이어졌다.

이 조치는 지난 7월 도쿄 지요다구 총리 관저 마당에 이어 후쿠시마현 외 지역에서 오염토가 활용된 두 번째 사례다. 당시 총리 관저에는 약 2㎥의 제염토가 깔린 뒤 위에 흙과 잔디가 덮였다.

정부는 그동안 주민 반발로 실증 사업이 잇따라 중단되자, 아예 관저와 관청부터 시범 적용해 '성공 모델'을 만들려는 전략을 내세운 것으로 해석된다. 환경성 측은 "공사 전후 방사선량이 거의 변하지 않았다"며 측정 결과를 홈페이지에 공개하겠다고 강조했다.

제염토는 2011년 후쿠시마 제1원전 폭발 사고 직후, 주택과 농지에서 오염 제거 작업을 하며 벗겨낸 흙이다. 일본 정부는 법률에 따라 2045년 3월까지 후쿠시마현 밖에서 최종 처분을 마쳐야 한다. 현재 중간 저장시설에만 약 1410만㎥이 쌓여 있는 상황이다. 이는 도쿄돔을 11번 채울 수 있는 양이다.

일본은 방사성 세슘 농도가 1㎏당 8000베크렐 이하일 경우 공공시설 등에 활용할 수 있다는 기준을 제시하고 있다. 이번에 도쿄로 옮겨진 토양의 세슘 농도는 약 4000베크렐로 기준치의 절반 수준이라고 정부는 설명한다.

하지만 지금까지 도쿄와 기타 지역에서 시도된 재활용 사업들은 지역 주민의 강한 반발에 막혀 번번이 무산됐다. 전문가들은 "정부 청사 투입은 단순한 미화 작업이 아니라 전국 확산을 위한 교두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