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 부처 간 연계를 강화한 정부 바이오헬스 연구개발(R&D) 사업이 신설된다. 자금 조달과 기술 고도화에 어려움을 겪던 초기 스타트업의 사업화에 속도가 날 전망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중소벤처기업부는 내년 '이어달리기' 방식의 제약바이오 R&D 과제 도입을 추진하고 있다. 중기부 R&D 과제를 마친 창업기업이 과기정통부 또는 복지부 연구를 수행하며 후속 기술을 개발하는 방식이다. 과기정통부는 내년 관련 예산을 편성했다. 복지부는 내년 예산이 마련되진 않았지만 창업기업 지원을 이어갈 방안에 대해 추가 논의하기로 했다.
이번 이어달리기 R&D 지원은 정부가 올해 1월 발표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이행을 위해 마련했다. 그중 하나로 과기정통부와 복지부, 중기부는 기업당 50억원 안팎의 벤처투자, R&D를 패키지로 지원하는 '바이오 벤처 스케일업 프로그램'을 수립하기로 했다.
투자자 실적 압박 등으로 인해 파이프라인이 미성숙한 상황에서 기술이전이 추진될 경우 수익성이 낮고, 후기 임상 단계의 R&D 경험을 상실하게 된다는 바이오벤처 업계 의견을 반영했다. 일본 정부는 지난해 2월부터 바이오 전문 벤처캐피털(VC)이 10억엔(약 93억원)을 투자하면 20억엔(약 186억원)의 재정을 매칭해 지원하는 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내년 국내에서 실시할 바이오 벤처 스케일업 프로그램은 중기부의 민간투자 주도형 기술창업 프로그램 스케일업 팁스를 활용할 가능성이 높다. 스케일업 팁스는 민간 투자사가 유망 스타트업에 10억원 이상을 투자하면, 한국모태펀드 매칭투자와 R&D 자금을 제공하는 사업이다. 여기에 글로벌 제약사 협력, 병원 인프라 연계 활용 등을 방안으로 지난 1월 발표했다.
중기부 관계자는 “올해 1월 발표한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 이행을 위해 타 부처와 지속 논의하고 있다”면서 “이어달리기 방식의 R&D를 토대로 구체화 방안을 그리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제약바이오벤처 혁신생태계 조성 방안에는 R&D 기획 외에도 해외 바이오 생태계 협력, 유망기업 해외 진출 지원, 제약바이오 전용 펀드 조성 등도 담겼다. 연구 역량은 우수하지만 장시간 매출이 발생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바이오벤처에 특화된 지원을 위해서다. 앞서 한국바이오협회가 지난해 말 59개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산업 현장 애로사항으로 응답 기업 55.9%가 R&D·정부지원금 등 자금 부족을 꼽았다.
바이오, 인공지능(AI) 벤처기업이 국내 제약회사와 협업하는 R&D 사업도 내년 신설된다. 바이오벤처가 보유한 기술력과 제약사의 신약개발 플랫폼을 결합, 오랜 시간이 필요하던 기존 신약개발 과정의 어려움을 극복할 것으로 기대했다. 중기부는 협업형 공동 R&D 사업에 내년 예산 118억원을 편성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