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협 '한국의 오픈이노베이션 현황 및 활성화 정책 제언 보고서' 발간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딥시크의 등장으로 세계 각국의 혁신 산업에 대한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우리나라의 새로운 수출 동력을 키워내기 위해서는 오픈이노베이션(개방형 혁신)에 대한 중장기적인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한국무역협회(KITA)가 5일 발간한 '한국의 오픈이노베이션 현황 및 활성화 정책 제언 보고서'에 따르면, 오픈이노베이션이 가져다주는 내부 혁신 유도효과가 입증됨에 따라 국내 대기업들의 참여도가 크게 높아졌으며, 스타트업들도 수출과의 연계를 통해 좁은 국내 내수시장의 한계를 넘어 시장 확대를 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주요 오픈이노베이션 프로그램 및 참여 대기업의 수는 2018년 7건, 18개 사에서 2023년 87건, 361개 사로 지난 5년간 약 12배 가량 대폭 증가했다. 스타트업의 수출 성과 역시 오픈이노베이션 참여 여부에 따라 엇갈렸다. 창업 7년차 기업 가운데 오픈이노베이션 미참여 기업의 연평균 수출 증가율은 39.5%인 것에 비해 참여 기업의 수출은 95.2%로 크게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오픈이노베이션에 대한 현장의 평가도 전반적으로 긍정적이다. 무역협회가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오픈이노베이션 참여에 대한 종합 만족도(5점 만점)에 대해 대기업․중개기관은 '보통~만족(3.58점)', 스타트업은 '매우 만족(4.51점)'이라고 응답했다. 대기업들은 단기간 내 성과 도출은 어려우나 장기적 투자 결정에 도움이 되었고, 기술 및 정세가 급변하는 시대에 오픈이노베이션이 필수적이라고 평가했다.
보고서는 설문조사 결과와 기존 성공사례를 바탕으로 6가지(C.R.E.A.T.E) 정책 제언을 도출했다. 특히 해당 제품·기술을 직접 활용하는 주체인 대기업이 주도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의 오픈이노베이션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의견 차이를 줄이기 위한 혁신 중개자의 육성, 범부처 차원의 기구신설 및 혁신 촉진법 제정, 기업형 벤처캐피탈(CVC)의 투자 제한 규제 완화 등도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명자 한국무역협회 해외마케팅본부장은 "오픈이노베이션의 특성상 유의미한 성과 창출까지는 평균 2~3년의 기간이 소요되고, 일대일 밋업도 약 7.2회 이상의 시도 끝에 성사되는 만큼 중장기적인 호흡이 필요하다"며 "대기업과 스타트업의 협력으로 발생하는 시너지 효과는 제품과 사업의 혁신으로 이어지며, 결국 포트폴리오를 다각화하고 수출경쟁력을 높이는 데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