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도로공사와 한국교통안전공단이 국정감사에서 AI(인공지능)와 디지털 기술 중심의 교통안전 관리 강화를 핵심 방향으로 제시했다. 두 기관은 16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국정감사에서 교통사고 예방과 미래 모빌리티 대응을 위한 디지털 안전체계 구축 방안을 밝혔다.
도로공사는 도로운영 전 과정에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교통안전 수준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AI 기반 법규 위반 차량 자동신고 시스템을 확대하고 자율주행 시범운행 구간을 늘려 교통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체계를 구축한다.
함진규 한국도로공사 사장은 “전 구간을 자율주행 시범운행지구로 지정해 미래 모빌리티 상용화를 지원하고 친환경차 충전 인프라 확충과 신재생에너지 신기술 발굴로 친환경 고속도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도로공사는 올해 3조4000억원을 투입해 포항·영덕 등 주요 노선을 적기에 개통하고 '5극3특' 균형발전과 대도시권 교통 혼잡 완화를 병행할 계획이다.
한편 함 사장은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를 교훈 삼아 재발 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체계를 확립하겠다”며 “건설현장 감독 인력을 확대하고 '작업중지 신고제'를 도입해 자율적 안전문화를 정착시키겠다”고 덧붙였다.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은 “AI와 데이터 기반 사전예방 중심의 안전관리로 교통안전을 혁신하겠다”고 밝혔다. TS는 최근 자동차검사부터 도로·항공·철도 전 분야를 아우르는 'AI 교통안전 혁신 전략'을 추진 중이다.
공단은 지난 13일자로 이사장 직속 'AI미래전략실'과 'AI디지털실'을 신설하고, 산하에 'AI혁신처'를 두는 등 조직 개편을 마쳤다. TS는 올해 안으로 AI 공통 플랫폼 구축 용역을 마무리하고, AI 기반 교통안전망을 생애주기별로 설계하는 중장기 로드맵을 마련한다. 자동차검사, 운수종사자 자격시험, 사업장 안전관리 등 주요 공공서비스에 AI 기술을 적용해 효율성과 품질을 높인다는 목표다.
정 이사장은 “모빌리티 산업 활성화와 첨단기술 조기 상용화도 중요 과제”라며 “테스트베드·데이터 제공, 규제혁신, 맞춤형 공공서비스 확대하겠다”고 말했다.
박효주 기자 phj20@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