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공무원이 원하는 인공지능(AI)을 안전하게 사용도록 지원하는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서비스를 내달부터 제공한다.
공공 업무 시스템인 온나라시스템에 AI 기능을 더한 '지능형 업무플랫폼' 시범 사업도 내달 시작하는 등 공공 AI전환(AX)에 속도를 낸다.
16일 업계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11월부터 전 부처 공무원 대상으로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서비스를 시범 제공한다.
이 서비스는 공무원이 보안 걱정 없이 다양한 생성형 AI 서비스를 업무 등에 활용하도록 관련 플랫폼과 거대언어모델(LLM), 컴퓨팅 자원(GPU 등) 등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지난 5월 삼성SDS 컨소시엄이 사업을 수주해 서비스를 구축했다. 내달부터 제공하는 서비스에는 AI 플랫폼(삼성SDS 패브릭스, 네이버클라우드 클로바 스튜디오 등)과 LLM 모델(삼성LLM,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오픈소스 모델 등)을 선정해 우선 서비스한다. 공무원은 이들 가운데 원하는 플랫폼과 LLM을 활용, AI를 업무에 적용해볼 수 있다.
행안부는 내달부터 석달 가량 시범기간을 거치며 사용자 의견을 청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보완이 필요한 부분은 수정 작업 등을 거쳐 내년 상반기께 전부처와 지방자치단체까지 정식 서비스를 제공한다.
지능형 업무플랫폼의 경우 4개 부처를 선정해 내달부터 시범 서비스한다. 현재 부처 수요를 받고 있으며 조만간 최종 대상 부처를 선정할 예정이다.
정부가 AI 관련 주요 서비스를 예정대로 시작함에 따라 공공 AX도 속도를 낼 것으로 기대된다.
앞서 지난 14일 진행된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위성곤 의원(더불어민주당)은 GS그룹 AX 플랫폼 개발 담당 임원을 증인으로 불러 민간 사례를 들으며 공공 내 AI 활용 필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위 의원과 이해식 의원은 현행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을 '인공지능 및 데이터기반행정 활성화에 관한 법률'로 개정하는 법안을 각각 대표 발의하면서 공공 AX 전환에 힘을 싣고 있다.
다만 AI 공통기반 플랫폼은 부처·지자체별 AI 플랫폼 난립과 중복 투자 등을 방지하기 위해 기획됐지만, 일부 부처·지자체에서 독자 AI 플랫폼 구축 움직임이 있는 만큼 이와 관련한 조율도 향후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가 발생했음에도 범정부 초거대AI 공통기반 플랫폼과 지능형 업무플랫폼이 당초 목표대로 11월부터 시범 가동이 가능한 것은 대구센터에 시스템을 구축했기 때문이다.
이들 플랫폼은 대구센터 내 민관협력형(PPP) 클라우드 구역에 시스템을 구축, 이번 국정자원 화재 영향을 받지 않았다.
행안부는 이번 국정자원 화재를 계기로 재해복구(DR) 중요성이 높아진만큼 지능형 업무플랫폼의 백업 체계 등도 다시 면밀히 살펴볼 방침이다.
김지선 기자 river@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