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이름·주소·연락처 해외로 유출?…823만 테무 이용자 '덜덜'

2025-02-23

중국의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발 개인정보 유출 여파가 여전한 가운데 차이나(C)커머스 업체인 테무가 개인정보 제공 대상을 확대한 사실이 알려지며 우려가 커지고 있다.

23일 유통업계에 따르면 테무는 지난 21일 개인정보 처리 방침을 업데이트하고 이용자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제3자에 한국 판매 파트너를 추가했다. 한국 제품을 직접 유통하는 ‘로컬투로컬(L2L)’ 사업을 시작하면서다. 한국 판매자에게 이용자 이름과 주소, 우편번호, 연락처 등의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는 게 테무 측 설명이다.

그런데 이와 함께 테무가 그간 한국뿐 아니라 미국·싱가포르·일본·호주·인도네시아 등 6개 국가의 클라우드 서비스·물류·지불·광고 관련 27개 기업에 주소나 이름, 연락처 등 개인정보 처리를 위탁하고 있다는 사실이 추가로 알려지며 논란이 커졌다. 지난해까지만 해도 테무는 이런 개인정보를 이전하는 해외 위탁사 현황에 대해 계열사와 서비스 제공업체 등으로만 명시해 자세한 목록을 알긴 어려웠다. 테무는 “국외 이전을 거부할 경우 서비스를 이용할 수 없다”라고도 적시했다.

딥시크발 개인정보 유출 의혹에 이어 테무의 방침이 알려지자 소비자들은 불안감을 표하고 있다. 테무의 월간 활성 이용자 수(MAU)는 823만여명으로 쿠팡과 알리익스프레스 다음으로 많다. 30대 테무 이용자는 “생각보다 더 많은 곳에 내 정보가 전달되고 있어 놀랐다”라며 “앞으로는 싼 걸 사기 위해 정보 유출 위험을 감수하고 싶지 않다”라고 말했다. 지난해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조사에서는 알리가 한국 고객 정보를 해외 판매 업체 18만 곳에 제공한 사실이 드러나 20억원 가까운 과징금 철퇴를 맞기도 했다. 위원회는 테무에 대해서도 조사를 진행 중이다.

전문가들은 개인정보를 관리 감독할 제도를 강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지난 21일 페이스북에 “해외 기업이 국내 데이터를 자유롭게 취득하고 무차별 활용하는 상황을 방치해선 안 된다”라며 정부에 대응을 촉구했다. 이성엽 고려대 기술경영전문대학원 교수는 “한국 내에서 정보를 수집·처리하면 당연히 한국 관련 법을 따라야 한다는 걸 분명히 업체에도 고지해야 한다”라며“애초 동의 때 목적과 달리 구매 정보가 어떻게 처리되고 있는지 업체 측에 소명을 요구하고, 정부 당국간에도 관련 법령 준수 여부를 확인하는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라고 말했다.

미국에서는 사생활 보호를 넘어 국가 안보 차원에서 테무에 칼날을 겨누는 분위기다. 외신에 따르면 지난해 틱톡 퇴출법을 통과시킨 미 의회는 최근 테무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해서도 FBI(연방수사국) 등 관련 기관에 정보를 요청했다. 미국에선 지난해부터 싱크탱크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와 투자회사 그리즐리 리서치 등에서 ‘테무를 위협 요소로 간주해야 한다’는 지적이 이어져 왔다. CSIS 다이앤 리날도 연구원은 “사용자의 스마트폰과 기타 기기가 앱의 숙주가 되며 그 안에 저장된 정보가 테무의 생명줄”이라며 “2022년 테무 수익의 80% 이상이 고객 대상 판매가 아니라 제3자 소매업체 네트워크에 광고 서비스를 제공하는 데서 발생했다”라고도 주장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