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로 진화하는 60년 물관리 경험’ 한국수자원공사, AI 중심의 물관리 비전 선포

2025-11-13

한국수자원공사(K-water, 사장 윤석대)가 인공지능(AI) 중심의 물관리 혁신을 통해 글로벌 물산업의 주도권 확보에 나선다.

한국수자원공사는 11월 13일 대전 본사에서 열린 창립 58주년 기념식에서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AI 물관리 세계 1위 기업’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하고, 2030년까지 AI 물관리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비전은 물관리 AI 대전환의 전사적 실행체계를 완성하고, 이를 통해 기후위기 대응 역량과 글로벌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담고 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60년 경험을 1초로 압축: AI가 만드는 새로운 일하는 방식”이라는 슬로건 아래, 지난 60년 동안 축적한 물관리 경험과 전 영역에서 생산되는 방대한 데이터를 AI와 결합해 새로운 물관리 패러다임을 창출하고 있다. 현재 수자원, 수도 등 전 분야에서 하루 약 74억 건의 데이터를 생산하고 있으며, 이를 AX(AI 전환)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한 AI 중심 조직개편과 데이터 인프라, 생성형 AI 서비스 구축을 단계적으로 추진 중이다.

AI First 비전 달성을 위해 한국수자원공사는 ▲AI 기반 초연결 업무환경 구축(업무혁신) ▲AI 자율운영형 물관리 인프라 실현(시설혁신) ▲글로벌 집단 지성 생태계 조성(역량혁신) 등 3대 전략목표를 수립했다.

한국수자원공사는 이미 AI 물관리 분야에서 기술력을 입증해오고 있었다. 특히, AI 정수장은 지난해 세계경제포럼(WEF)에서 글로벌 등대로 선정된 데 이어 국제표준화기구(ISO)가 공인하는 글로벌 표준기술 승인 단계에 진입했다. 더불어 디지털트윈 물관리 기술은 사우디, 일본에 이어 올해 미국 현지 실증사업을 진행하며 물관리의 새로운 지평을 열고 있다.

최근에는 ChatGPT 개발사인 OpenAI와 물분야 특화 LLM(대규모 언어모델) 개발 및 기후예측 플랫폼 구축 협력을 논의하는 등 글로벌 AI 생태계와의 협력도 강화하고 있다. 기획재정부의 AI 활용 선도기관으로서 ‘AI 3대 강국’ 실현에 기여하고, 우리나라의 AI 물관리 역량을 한층 높이겠다는 계획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AI 전환은 기후위기와 물재해 대응이라는 우리의 본질적 역할을 한층 더 강화하고, 반세기 넘게 쌓아온 경험과 데이터를 국민의 안전과 미래 경쟁력으로 바꾸는 도전”이라며, “AI 기반 물관리로 반도체 등 국가 전략산업을 지원하고, 2030년까지 AI 물관리 분야 세계 1위 기업으로 도약해 대한민국이 AI 3대 강국으로 나아가는 데 기여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수자원공사가 11월 13일 ‘기후위기를 극복하는 AI 물관리 세계 1위 기업’이라는 새로운 비전을 선포하고, 2030년까지 AI 물관리 분야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력과 경쟁력을 확보하겠다고 밝혔다.

‘60년 경험을 1초로 압축: AI가 만드는 새로운 일하는 방식’이라는 슬로건 아래, 물관리 AI 대전환의 전사적 실행체계를 완성하고 기후위기 대응 역량과 글로벌 시장 리더십을 강화하겠다는 의지를 담았다.

한국수자원공사의 대표 AI 정수장인 화성정수장 전경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