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그후]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서 국산 PaaS 입찰 장벽 없앤다

2025-04-01

정부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사실상 국내 대기업의 서비스형 플랫폼(PaaS)만을 공급받으려는 취지로 해석된 문구를 삭제한다. 향후 발주될 모든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국산 PaaS라면 전부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장벽을 없앤 것이다.

1일 정부와 PaaS 업계 등에 따르면, 행정안전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 향후 발주할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에서 '민간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사(CSP)의 서비스 또는 오픈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를 활용·구성해야 한다'는 문장을 삭제할 것을 지시했다. 〈본지 3월6일자 10면 참조〉

본지가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 제안요청서(RFP)를 살펴본 결과 '민간 CSP의 PaaS 서비스 또는 오픈마켓에서 제공하는 서비스만 활용·구성해야한다'는 문구가 새로 추가됐다고 지적한 데 따른 것이다.

당시 PaaS 업계는 정부가 네이버클라우드, KT클라우드, NHN클라우드, 삼성SDS 등 국내 대기업 계열사인 민간 CSP사 PaaS만을 공급받겠다는 취지로 해석, 문제를 제기했다.

특히 NIA가 K-PaaS 사업을 운영해오고도, 기술력을 입증한 중소·중견 상용 PaaS를 공급받지 않겠다는 것은 모순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동안 정부는 기술력을 갖춘 중소·중견 PaaS 기업을 육성해왔다. 대표적인 사업이 'K-PaaS'다.

K-PaaS는 개방형 클라우드 플랫폼 표준모델(오픈소스)와 이를 기반으로 K-PaaS 적합성을 인증받은 클라우드 플랫폼 서비스, 솔루션을 통칭한다. K-PaaS 적합성 인증을 통과한 기업은 공공에서 추진하는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에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정부 조치는 상용 PaaS 업계 의견을 전적으로 수용한 것이다. 상용 PaaS 업계는 정부가 대기업 PaaS만을 공급받겠다는 의도가 아니라면, 문제가 된 문구를 삭제해야 한다는 입장이었다.

행안부 관계자는 “애초 대기업 PaaS만을 공급받으려는 취지는 아니었으나, 오해를 불러일으킬 수 있어 보완 조치에 나섰다”면서 “이미 발주된 RFP의 경우에는 수정이 어렵지만, 향후 발주될 공공 클라우드 네이티브 사업 RFP에는 오해 소지가 있는 문장을 삭제할 것”이라고 말했다.

상용 PaaS 업계 관계자는 “정부가 업계 의견을 반영해줘서 다행”이라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전환 사업에 적극 참여해서 국산 상용 PaaS 기술력을 입증하겠다”고 말했다.

류태웅 기자 bigheroryu@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