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의 고용지표가 예상보다 크게 악화하면서 미 국채 금리가 급격히 하락하고,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조만간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에 대한 시장의 기대감이 빠르게 커지고 있다.
4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미국 노동부가 1일(현지시간) 발표한 7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은 7만3000명 증가에 그쳐 전문가들이 예상한 10만 명을 크게 밑돌았다. 게다가 5월과 6월의 고용 증가치도 기존 수치보다 총 25만8000명 줄어드는 방향으로 수정됐다.
실업률 역시 4.1%에서 4.2%로 소폭 상승하며 고용 시장의 둔화 신호를 더했다.
이러한 수치가 공개되자, 9월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가 급속히 확산되며 채권 시장은 즉각 반응했다. 최근 한 달간 약세 흐름을 보이던 미 국채 수요가 반등했고, 금리는 전반적으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특히 단기물 금리의 하락 폭이 두드러졌다. 2년 만기 국채 금리는 0.25%포인트 넘게 떨어지며, 2023년 12월 이후 하루 기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이에 따라 장단기 금리차가 확대되는 ‘스티프닝(steepening)’ 현상이 뚜렷해졌고, 이에 베팅한 투자자들은 큰 수익을 얻었다.
채권 전략가 케빈 플래너건(위즈덤트리)은 “노동 시장 상황이 완전히 바뀌었다. 25만명 규모의 하향 수정은 상당한 파장을 일으킬 수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장 초반 미국 국채 선물 거래량은 평소의 세 배에 이르렀고, 장단기 금리차는 지난 4월 10일 이후 가장 큰 수준으로 벌어졌다. 이와 함께, 연내 두 차례 이상 금리 인하가 이뤄질 것이라는 기대도 힘을 얻고 있다.
미슐러 파이낸셜 그룹의 토니 패런 금리 전략가는 “파월 연준 의장은 최근까지 9월 인하 가능성을 사실상 부인했지만, 이번 고용 지표로 투자자들이 매도 포지션을 급히 청산할 수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JP모건의 프리야 미스라 매니저는 “이번 고용 지표가 분명히 9월 인하 가능성을 높인 것은 사실이지만, 여전히 낮은 실업률과 실효 관세율 상승에 따른 인플레이션 위험을 고려하면 확정적 판단은 이르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