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으로 출근합니다.’ 직장인에게는 낯설지 않은 말이다. 하루 종일 손꼽아 기다린 퇴근이지만, 집으로 향하는 발걸음이 마냥 가볍지만은 않다. 눈앞에 펼쳐진 집안일에, 쉬어야 할 공간인 집이 또 하나의 일터처럼 느껴지는 순간이 많기 때문이다. 빨래나 청소는 주말로 미룰 수 있어도 끼니만큼은 거를 수 없다. 집이 일터인 전업주부도 마찬가지. 외식이나 배달에 의존해보지만 반복될수록 물리고, 지갑 사정도 만만치 않다. 그렇다고 집밥을 해먹자니 요리와 설거지가 동시에 떠오르며 일의 부담감이 두 배로 커진다.

실제로 직장인 10명 중 7명은 퇴근 후 설거지를 ‘잔업’처럼 느끼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LG전자가 올해 2월부터 4월까지 전국 성인 남녀 2만2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거지 라이프스타일 인식 조사’에 따르면, ‘퇴근 후 설거지로 더 지친 적이 있느냐’는 질문(3005명 응답)에 67.5%가 ‘그렇다’고 답했다. 특히 기혼(1321명 응답)은 77.4%로, 평균보다 10%포인트 가량 높게 나타났다. 반면 미혼(1684명 응답)59.7%로 나타났다.
기혼자 중에서도 자녀가 있는 경우 부담은 더욱 커졌다. 5세 이하 자녀가 있는 응답자(424명)의 경우, 무려 84.3%가 설거지를 큰 스트레스로 느낀다고 답했다. 2세, 6세 남매를 키우고 있는 30대 직장인 박진아 씨는 “부부 식사에 아이들 밥까지 따로 준비하다 보니 퇴근 후와 주말엔 돌밥돌밥이 일상"이라며 "싱크대에 그릇이 쌓이고, 이를 볼 때마다 집안일에 쫓기는 기분이 든다”고 토로했다. 이어 “아이들이 잠든 뒤 조용한 시간이 찾아오긴 하지만, 그때 설거지를 하자니 물소리에 아이가 깰까봐 조심스럽다”라고 덧붙였다. 실제로 ‘잠든 아이가 깰까 봐 설거지를 미룬 적 있다’는 응답도 70%에 달했다.

결혼 전 단골 멘트였던 ‘손에 물 안 묻히게 해줄게’라는 약속은 현실에선 공허하게 들린다. ‘그 말이 거짓말이었다고 느끼느냐’는 질문에 기혼 응답자의 90.8%가 ‘그렇다’고 답했다. 설거지로 인해 배우자에게 서운함을 느낀 적이 있다는 응답도 56.2%였다. 여성 응답자의 경우 60%, 남성은 56.2%가 ‘서운함을 느낀 적 있다’고 답해, 성별을 불문하고 서운한 감정을 느낀 것으로 나타났다.

설거지 스트레스는 식사 습관에도 영향을 미친다. 전체 응답자(1만15명) 중 절반 이상인 52.2%가 ‘설거지가 귀찮아서 배달 음식을 시킨 적 있다’고, 52.9%는 ‘외식을 택한 적 있다’고 답했다. ‘반찬통 그대로 꺼내 먹은 적 있다’는 응답은 70.6%에 달했다. 기혼자(2980명)의 경우 배달·외식 비율이 각각 59.1%로 전체 평균보다 7%p 높았고, 반찬통 그대로 식사한 경험도 74.9%로 평균보다 3%p 가량 많았다.
이 같은 불편을 덜어줄 해답으로 로봇청소기, 건조기와 함께 ‘맞벌이 부부의 3대 필수 가전’으로 꼽히는 식기세척기를 떠올리는 이들이 많다. 실제로 식기세척기를 사용 중인 기혼 남녀 2446명 가운데 맞벌이 부부의 80.6%는 “식기세척기가 없던 시절로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답했다.

그럼에도 식기세척기 사용을 주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식기세척기를 사용하지 않는 50대 남녀 1965명 중 절반 이상(53.6%)은 ‘식기세척기는 손 설거지만큼 깨끗하지 않다’고 답했다. 물 사용량에 대해서도 인식 차이가 컸다. 30~50대 남녀 1009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서는 10명 중 7명이 ‘손 설거지가 식기세척기보다 물을 10배 더 많이 쓴다’는 사실을 모르고 있었다. 하지만 실제로는 위생과 물 사용 면에서 식기세척기가 훨씬 효율적이다. 예를 들어 LG전자 디오스 식기세척기는 ‘100℃ 트루스팀’ 기술로 유해 세균 28종을 99.999% 제거하며, 물 사용량도 손 설거지의 10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 결국 잘못된 인식이 불편함을 키우고 있는 셈이다.
실제로 식기세척기를 사용중인 응답자의 설문 조사 결과를 보면, 일상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식기세척기를 보유한 기혼 남녀 2446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식기세척기를 사용 후 일상이 달라졌는지’를 묻자 71.3%가 ‘그렇다’고 답했다. 맞벌이 부부의 경우 그 비율은 78.4%로 평균보다 7%p 높았다. 가장 큰 변화는 ‘저녁 시간의 여유’였다. 식사 후 여유 시간이 생겼느냐는 질문에 전체 응답자 중 78.2%가 ‘그렇다’고 답했다. 맞벌이 응답자(1804명) 중에서는 84.1%가 여유를 체감한다고 했다. ‘사람들을 집으로 초대하기가 쉬워졌다’는 응답도 60.4%에 달했다.

올봄 식기세척기를 들인 직장인 김태완 씨는 “예전엔 가족과 식사한 뒤 설거지를 마치고 나면 하루가 다 지나버렸는데, 식기세척기를 사용한 후엔 하루가 한 시간쯤 늘어난 느낌이다”라며 “남는 시간에 가족과 함께할 수 있는 여유가 생겼고, 무엇보다 싱크대에 그릇을 쌓아두지 않아도 돼 여름철 위생 면에서도 만족스럽다. 설거지 상태 역시 기대 이상이다”라고 말했다.
한 번 구입하면 오랫동안 사용하는 가전인 만큼, 선택 시 꼼꼼한 비교는 필수다. 많은 이들이 걱정하는 물 얼룩은 스팀의 강도와 ‘연수 장치’의 유무를 확인해야 한다. 연수 장치는 세척수에 포함된 석회질을 줄여 물 얼룩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한 세척 후 자동으로 문이 열리는 기능은 내부 습기와 냄새를 효과적으로 배출해 쾌적한 사용에 유리하다.
집에서의 ‘야근’을 줄이고 퇴근 후 진짜 쉼을 누리는 법. 어쩌면 ‘설거지 없는 집밥’부터 시작일지도 모른다. 집안일도 결국 ‘장비빨’이다. 오죽하면 식기세척기 사용자의 10명 중 8명이 “식기세척기 없던 시절로는 돌아가고 싶지 않다”고 답했을까.
송정 기자 song.jeong@joongang.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