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솔찬공원의 색소폰 연주자

2025-10-20

가끔 TV에서 한일 합작 프로젝트인 트로트 경연프로그램을 본다. 얼마 전에는 한국 가수들이 일본 엔카를, 일본 가수들은 한국 트로트를 불렀다. 트로트 가사에는 어머니·친구·고향·골목길과 같은 그리움을 품은 단어들이 많다. 반면 엔카에는 쓸쓸함·시련·술과 같은 인생살이의 고단함과 적적함이 묻어 나오는 말들이 자주 나온다. 양국 노래에 공통으로 나오는 단어도 있는데 바다·항구·갈매기다.

서러워 분다며 트로트 들려줘

일 ‘엔카의 아버지’ 곡도 18번

갈매기들도 조용히 다가와 들어

다음날 늦은 오후 벗들과 인천 송도에 있는 솔찬공원 해안 산책로를 걸었다. 솔찬공원은 인천대교 건설 시 작업장이었던 곳으로 후에 시민 휴식공간으로 재탄생되었다. 송도나 ‘솔찬’이란 말에 소나무가 떠오른다. 모래사장이 있는 해안가에는 모래가 바람에 날려오지 않게 염분에 강한 소나무를 심었으리라.

소나무를 보던 시선이 초가을 하늘에 떠 있는 연한 구름에 닿는다. 그때 어디선가 애잔한 색소폰 소리가 들려온다.

색소폰 소리를 따라가 보니 콧수염을 단정히 기른 한 신사가 눈을 지그시 감고 들숨 날숨을 쉬어가며 이마에 핏줄이 솟도록 색소폰을 분다. ‘쌍고동이 울어대는 이별의 인천항구, 갈매기도 슬피 우는 인천항구’로 시작하는 ‘이별의 인천항’이다. 신사는 연주를 마친 후 우리 일행에게 짧은 눈인사를 보내고는 미국 민요 ‘메기의 추억’에 이어 쇼스타코비치의 왈츠 2번을 연주한다. 그는 잠시 숨을 고르고 나더니 ‘연안부두’를 연주한다.

그가 날숨을 쉬자 해는 바다 너머로 기울고 그의 들숨에는 연 푸른 하늘 속 반달이 산뜻한 모습을 드러낸다. 그의 색소폰 선율은 석양을 삼켜가는 밤바다와 하나가 되었다. 그 순간 세상은 그의 것이었고 초저녁 바닷바람도 그를 너그럽게 감싸주었다.

연주를 마친 신사에게 다가가 물었다. “이곳에 자주 나오시는지요?” 자신을 김씨라고 만 밝힌 그는 시간이 날 때마다 인천 곳곳을 다니며 색소폰을 분다고 했다.

“내일은 어떤 음악을 들려주실지요?”라는 물음에 김 선생은 다음 날 저녁에는 인천항에 나가 엔카의 아버지로 불리는 고가 마사오(古賀政男) 작곡가의 ‘아리랑의 노래’라는 곡을 연주해볼 생각이라고 했다.

눈매가 깊은 김 선생은 벤치에 앉아 잠시 눈을 감고 나더니 고가 마사오의 일생을 들려주었다. “그는 1904년 일곱 살이 되던 해 홀어머니와 한국으로 건너와 이곳 인천에서 유년시절을 보냅니다. 그 후 그는 서울로 가서 선린상업학교에 들어갔어요. 소년 시절을 한반도에서 보낸 고가 마사오는 일본으로 돌아가 한국적인 멜로디로 수많은 엔카를 작곡하여 ‘엔카의 아버지’로까지 불리게 되지요. 그는 어느 TV 인터뷰에서 자신은 한국적인 것에서 영감을 얻는다고 했어요. 어릴 때 본 인천항의 쓸쓸한 늦가을 풍경, 부두 노동자들의 고단한 모습, 인천에서 친구들과 흥얼거렸던 한국민요가 자신에게는 늘 음악 원동력이 된다고요. 오사카에서 태어난 저도 어릴 적 보았던 황혼에 물든 오사카 항이 가슴에 남습니다. 아마 고가 마사오의 가슴속에도 노을 진 인천항이 생생하게 살아 있었을 겁니다.”

이 말을 마친 김 선생은 옅은 미소를 지으며 고가 마사오의 곡을 연주할 때는 가끔 종로 북촌의 어느 고등학교에서 촬영했다는 ‘겨울연가’의 몇 장면이 떠오른다고 했다.

김 선생의 말을 들으며 이런 생각을 하게 되었다. 고가 마사오가 작곡한 엔카에 익숙해진 일본인들은 한국 드라마 ‘겨울연가’를 보며 울고 웃으며, 알게 모르게 ‘한류’의 흐름을 탔다. 그 후 한류는 중국과 동남아시아로 퍼지고, 최근에는 BTS·블랙핑크·오징어게임과 케데헌까지 모두 세계인의 것이 되었다.

김 선생과 대화를 나누는 동안 대화 내용이 궁금한 갈매기들이 여기저기서 모여든다. 갈매기 틈에 섞인 비둘기도 오동통한 몸으로 여기저기 바닥을 쪼며 돌아다닌다. 누군가 먹다 흘린 음식 부스러기 때문이리라.

그는 주변에 모여든 갈매기들을 웃음기 띈 얼굴로 보며 말한다. “저 갈매기들이 평소에는 멀뚱하게 바다만 보는 것 같지만 항구에서 살아서 그런지 눈치도 빠르고 알 건 다 아는 것 같아요. 갈매기가 많은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인 차이콥스키도 갈매기 우는 소리를 들으며 저녁 산책을 했지요. 하기야 ‘차이콥스키’라는 성도 갈매기라는 뜻입니다.”

김 선생과의 이례적인 첫 만남은 ‘차 한잔’에서 자연스레 ‘소주 한잔’으로 이어졌다. 취기가 오른 그는 자신이 색소폰을 부는 이유를 알 수 없는 서글픔 때문이라고 했다. “하지만 석양이 아름다운 이곳 솔찬공원에서 색소폰을 불면서 늘 환희와 영감을 받습니다. 큰 축복이지요.”

인생에서 술 마시는 이유의 절반은 즐거움이고 나머지 절반은 슬픔이라고 한다면 그럭저럭 맞는 말이 아닐까? 술과 음악은 인간을 달래주기 위해 존재하는 듯하다. 창밖 갈매기도 끄덕인다.

그날 밤은 꿈속에서 나도 색소폰을 불었다.

곽정식 수필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