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02/11/de244ef3-a977-494f-86b2-60c0d7d52b91.jpg)
신원식 국가안보실장은 11일 12·3 비상계엄 당시 윤 대통령에게 “그건 절대 안 된다”며 “무슨 비상계엄인가”라는 취지로 말했고, 몇몇 수석들도 그런 취지로 말한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신 실장은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 대통령 탄핵 심판 7차 변론 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논리를 생각할 때가 아니라 일단 계엄 선포가 적절한 선택이 아니라는 생각을 본능적으로 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또한 신 실장은 지난해 3~4월 만찬 자리에서 있었던 윤 대통령의 발언과 관련해 “계엄까진 생각하지 못했다”며 “적절치 않다고 의견을 표했다”고 증언했다.
그는 윤 대통령의 당시 발언에 대해 “법적인 문제를 떠나 어떤 어려움을 해결하는 데 좋은 솔루션은 아니라는 취지로 말씀드린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신 실장은 지난해 3월 말부터 4월 초 사이 삼청동 안가에서 열린 윤 대통령 주재 만찬에 자신을 비롯해 김용현 전 국방부 장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이 참석했으며, 당시 윤 대통령이 시국과 관련된 발언을 했다고 전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울분까지는 아니고 다양한 주제에 대해 말씀하신 것으로 기억한다”며 “(윤 대통령이) 혼자서 길게 얘기했다기보다 1시간 동안 대화를 주도했고, 저희는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한 자리였다”고 설명했다.
또한 윤 대통령의 발언과 군과의 연계성에 대해 신 실장은 “법령보다는 군이 현실 정치에 역할을 하는 것 정도로 이해했다”며 “계엄까지 생각은 못 했고 저는 적절치 못하다는 의견을 피력했다”고 말했다.
그는 “윤 대통령이 지나가는 말투로 비슷한 말을 했지만 저를 보고 말씀해서 평소에 제가 알고 있던 역사관, 국민의 정치의식 등을 고려할 때 썩 유용한 방법이 아니다라고 말했다”고 덧붙였다.
신 실장은 자신이 육사 생도 시절 12·12 사태를 겪으면서 군의 정치 개입에 반대하는 신념을 갖게 되었다고 밝혔다. 그는 당시 조 원장 또한 국제 관계를 언급하며 “외국에서 받아들이지 못하고 국격에 비춰 그런 생각을 못 한다”는 취지로 말했다고 전했다.
아울러 신 실장은 “지나간 말이지만 다른 군인에게 그런 말을 하면 괜한 오해가 될 수 있겠다 싶어 특히 김 전 장관에게 유의 깊게 ‘대통령을 잘 모셔라’, ‘대통령을 잘 모시는 길이 그런 말씀을 혹시라도 안 할 수 있도록 하는 게 부하 된 도리’라고 말한 기억이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그는 “술을 곁들인 식사 자리여서 (윤 대통령이) 깊이 생각 안 할 수도 있어서 김 전 장관에게 대통령에게 말씀을 전해달라는 뜻으로 그런 표현을 썼고 김 전 장관도 제 말에 100% 동감하고 ‘그렇게 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