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사업·토목 등 비주택 사업서 해답 찾아야"
[미디어펜=조성준 기자]부동산 불황 장기화로 건설업계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중소 건설사들의 생존 전략 마련이 요구된다.
공사비 상승과 지방 부동산 시장 침체가 중소 건설사들이 생존 기로에 놓이면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된다.
24일 통계청 '2023년 건설업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건설업계 전체 매출은 506조7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9.9% 증가했다.
토건업종 시공능력평가액 순위 기준 상위 100대 건설사 매출은 203조4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23.7% 증가했다. 반면 그 외 건설사 매출은 303조4000억 원으로 전년대비 2.3% 증가하는데 그쳤다.
지난해 건설업체 전체 기업 수가 8만7891개인 만큼 상의 100대 건설사를 제외한 '그 외 기업'은 무려 8만7791개에 달하는 셈이다.
특히 상위 100대 건설사 매출은 전체에서 40.1%를 차지했다. 이는 2022년(35.7%) 대비 증가한 수치다. 그 외 건설사는 전체에서 59.9%로 2022년(64.3%) 대비 축소됐다. 100대 건설사 매출은 국내 및 해외 각각 전년대비 21.4%, 34.9% 증가했다. 반면 그 외 건설사는 각각 2.3%, 1.6% 늘었다.
건설사 수익성 양극화가 심화된 주된 이유는 공사비 상승과 유동성 위기를 꼽을 수 있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본격화된 부동산 침체는 올해 중순 반등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내 침체도 돌아섰다. 건설 시장은 상황이 더 안좋아 공사비 상승 압박 속에 1년을 보냈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 따르면 올해 10월 기준 건설공사비지수는 130.32로 전년 동기 대비 0.92% 상승했다. 더구나 9월에는 130.45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건설공사비지수는 2020년 100을 기준으로 공사비의 물가 변동 수준을 수치화한 지표로, 현장에 투입되는 △재료 △노무 △장비 등 가격 변동을 측정하는 식이다.
공사비지수는 2021년에 117.37, 2022년 125.33 등 매년 오르는 추세를 보이기는 했지만, 올해 10월 건설공사비지수가 2020년 대비 30% 이상 급등했다.
문제는 공사비가 내년에 더 오를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으로 인한 내년 미국 기준금리 인하 속도조절 기조가 확정적이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도 장기화됐기 때문이다.
러시아는 주요 원유 생산국이자 세계 1위 천연가스 매장량을 보유하고 있는 나라로, 정세 불안이 원유 등 자원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건설 원자잿값도 당연히 오를 수밖에 없는 구조다.
프로젝트파이낸싱(PF) 대출 부담도 중소 건설사들을 압박하고 있다.
부동산 PF는 한 개발 사업에서 미래에 예상되는 수익을 담보로 자금을 조달하는 금융 기법이다.
국내 부동산 PF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230조 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다.
통상적으로 사업 시행사는 약 3~5%의 자기자본으로 사업을 시작한다. 토지 매입 및 취득 등에 사용되는 자금은 고금리 브릿지론으로 충당한다. 이후 본 PF로 브릿지론을 상환하면서 전체 사업비를 조달하는 방식이다.
국내 부동산 PF 시장은 지난해 말 기준 230조 원에 달할 정도로 커졌고 이자 부담도 늘어났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2021~2023년 추진된 300여개 PF 사업장을 살펴본 결과, 시행사의 자본 투입 비율은 3.1%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상황이 악화되면서 자금력이 충분하지 못한 지방 소형 건설사들은 도산하고 있다.
국토교통부 건설산업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11월까지 부도 처리된 건설사는 27곳으로 2019년 이후 가장 많은 수치를 기록했다.
수익성의 원천인 주택사업 수주도 대형 건설사 위주가 독식하는 양극화가 진행되면서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여기에 수도권과 지방 부동산 양극화가 동시 진행되면서 일감이 끊긴 중소 건설사들은 그야말로 버티기에 돌입했다.
한편 일부 중견 건설사들이 위기 타개책으로 공공사업, 토목 등 비(非)주택 사업에 역량을 쏟는 모습은 좋은 본보기가 된다는 의견이 나온다.
현실적으로 주택사업을 원활하게 수주하기 어려운 환경이라면 비교적 경기를 덜 타고 안정적인 관급공사나 토목공사에 집중하는 편이 낫다는 평가다.
한 중견 건설사 관계자는 "불확실성이 커지고 경기가 어려워지면서 무리한 사업을 일으키지 않고 재무 관리에 신경쓰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며 "수주 양극화가 심화되면서 주택 수주에 매몰되기 보다는 공공사업 위주의 신규 수주로 활로를 모색하고 있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