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소상공인의 10월 경기 체감지수가 대폭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내수 위축에 따른 기저효과와 소비쿠폰 지급으로 인한 소비 심리가 개선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중소벤처기업연구원은 30일 'KOSI 중소기업 동향' 2025년 10월호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9월 중소기업 실적 경기지수(SBHI)는 전년동월 대비 3.2포인트 오른 75.7을 기록했다. 특히 소상공인 체감경기지수(BSI)는 11.0포인트 상승한 76.6으로 개선 폭이 컸다.

내수가 위축됐던 지난 해 경제 상황의 기저효과와 소비 쿠폰 지급에 따른 내수 활성화 효과가 함께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다만 전통시장 체감경기지수는 전년동월 대비 1.6포인트 하락한 74.6을 기록했다. 이는 올해 추석 연휴가 10월로 이동하면서 전년 대비 9월 매출이 줄어든 것으로 추정된다.
지난 8월 소매판매액은 53조원으로 전년동월과 비교해 7000억 원(1.4%) 증가했다. 소비 쿠폰 지급이 있었던 7월에 비해서는 소매판매액 증가율이 낮아졌지만 3월부터 6개월 연속 증가세다.
9월 중소기업 취업자 수는 2575만명으로 전년동월에 비해 8만 8000명 증가했다.
1~4인 업체 취업자수가 전년동월에 비해 9만 3000명 감소했지만 5~299인 업체 취업자수는 18만명 증가하면서 300인 미만 취업자수는 전체적으로 늘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제조업이 8만 7000명, 건설업이 9만 3000명 줄어 취업 감소세가 뚜렷했다.
8월 창업기업 수는 8만 9686개로 전년동월대비 2.0% 줄었다. 제조업(11.2%↓), 서비스업(0.4%↓), 건설업(8.3%↓) 등 전반적으로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기술기반업종 창업기업도 1만 6839개로 전년동월대비 0.2% 감소했다.
연구원은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내수 활성화 효과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작년보다 개선된 것으로 보인다”며 “관세 불확실성, 지정학적 갈등 등 하방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으로, 중소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중기연 관계자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지급에 따른 내수 활성화 효과가 이어지면서 중소기업 체감경기는 작년에 비해 전반적으로 양호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다만 관세 불확실성과 지정학적 갈등 등 하방 위험이 존재하는 상황인 만큼 중소기업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최소화될 수 있도록 정책적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3분기 실적] IBK기업은행 누적 순익 2.26조…중기대출 잔액 260.3조](https://www.inthenews.co.kr/data/photos/20251044/art_17618322869933_760217.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