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datanews.co.kr/data/photos/cdn/20250206/art_1738910519.png)
CJ프레시웨이가 실적 개선과 외부 조달 등을 통해 재무불안 해소에 힘쓰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부채비율이 200%대 후반에 머물러 있는 등 안정적인 수준과는 거리를 보이고 있다.
11일 데이터뉴스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CJ프레시웨이의 분기보고서와 실적발표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말 부채비율은 276.6%로 집계됐다.
CJ프레시웨이의 부채비율은 지난해 1분기 말 291.7%에 이어 2분기 말 295.2%까지 상승했다가 3분기 말 287.0%로 떨어진데 이어 지난해 말 또 다시 낮췄다. 하지만 여전히 1년 전(272.0%)보다 4.6%p 높은 수준에 머물러 있다.
CJ프레시웨이는 단기차입금과 사채 등이 재무상태를 악화시켰다. 지난해 3분기 말 단기차입금은 945억 원으로, 전년 동기(760억 원) 대비 24.3% 늘었다. 여기에 유동성장기사채 999억 원이 더해지면서 부채 규모를 가중시켰다.
반면, 현금흐름은 둔화됐다. 영업활동으로 인한 현금흐름은 지난해 3분기 누적 115억 원으로 전년 동기간(1966억 원) 대비 94.2% 감소했다.
같은 기간 현금 및 현금성자산은 전년 동기보다 55.3% 감소한 589억을 기록했다.
순차입금은 2023년 말 1298억 원에서 2024년 말 1554억 원으로 늘었고, 차입금의존도는 14.2%에서 18.9%로 상승했다.
CJ프레시웨이는 기업의 현금창출에 직결되는 영업이익이 악화됐다.
지난해 3분기 누적 영업이익은 68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8.1% 감소했다. 주요 급식기업 중 유일하게 영업이익이 하락했다. 식자재유통부문, 푸드서비스부문의 수익성 감소가 주효했다.
지난해 연간 영업이익도 940억 원으로, 전년 대비 5.3% 감소했다.
CJ프레시웨이는 외부 조달을 통해 개선에 주력하고 있다. 지난달 무보증사채 상환을 위해 기업어음 발행을 통해 단기차입금 600억 원을 조달했다.
오수민 기자 osm365@datanews.co.kr
[ⓒ데이터저널리즘의 중심 데이터뉴스 - 무단전재 &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