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평양 가로질러 녹색항로 뜬다… 韓, 호주와 탈탄소항로 본격 개척

2025-02-10

해수부 관계자 “친환경 해상루트 찾기 위해 각국과 적극 협력할 것”

호주와 탄소중립 목표 달성과 친환경 연료공급 환경조성 기대

미국 서부-부산·울산 녹색해운항로는 2027년, 이후 싱가포르, 덴마크와도 추진중

[녹색경제신문 = 박성진 기자] 해양수산부(장관 강도형)는 10일 호주 정부와 ‘한-호주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를 체결했다.

녹색해운항로란 국제해운업계에서 최근 화두가 되고 있는 무탄소 연료 또는 친환경 기술을 활용한 탄소배출이 없는 해운운송 항로를 의미한다. 국제해사기구(IMO)의 탄소규제 강화에 따라 친환경 해운 조선 산업을 주도하려는 국가의 주요 핵심 정책 수단으로 부각되고 있다.

이미 이런 흐름에 발맞추어 국내 조선소 수주 선박의 78% 이상이 친환경선박으로 건조되고 있으며, 로테르담, 상하이, 싱가포르 등 주요 거점 항만을 중심으로 전세계 총 44개의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이 발표 되는 등 해운·항만 탈탄소화 선도 경쟁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이다.

2023년 말부터 논의 거친 호주와의 협력… 2029년에 결실 볼 듯

이런 환경에서 정부도 관련국들과 협력하기 위해 노력해왔다. 호주와는 2023년 12월 두바이에서 열린 유엔의 제28차 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에서 관련 부처간 업무 협의를 시작으로, 녹색해운항로 구축 및 MOU 협력사항 실무 논의, 녹색해운항로 협력 논의를 거친 것으로 전해졌다.

우리나라와 호주는 이번 MOU 체결을 통해 ▲녹색해운항로 구축(국제해사기구의 ’2050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녹색해운항로를 구축·확대 등을 공동으로 노력), ▲국제해사기구에서의 녹색해운 관련 사항에 대한 공동 대응(선박 온실가스 감축 규제와 관련된 사항을 협력하여 이행을 위해 공동으로 노력), ▲친환경 연료공급 환경조성 및 활용 장려(양국 항만에서 친환경 연료공급을 활용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기술 협력), ▲관계기관 간 교류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추진할 것으로 보인다.

구체적으로 올 상반기부터 주요 항만 간 녹색해운항로 관련 사전 타당성 조사를 실시하는 등 양국 간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위한 절차가 본격적으로 진행되며, 경제성·기술적·제도적 타당성 연구 및 로드맵 수립 후, 2029년 상반기 녹색해운항로를 시범 운항하게 된다.

해수부 관계자는 “녹색해운항로 구축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핵심 이행수단이자 해운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수단이다. 이번 MOU 체결을 통해 양국이 협력을 강화하여 우리나라와 호주를 연결하는 녹색해운항로가 성공적으로 구축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해수부, 2027년부터 탄소배출 없는 글로벌 녹색해운항로 구축 본격화

미국을 시작으로 호주, 싱가포르, 덴마크와 추진

한편, 해수부는 ’글로벌 녹색해운항로 추진전략‘을 마련하고, 관련국들과 협력을 진행하고 있다.

우선, 미국과는 2027년 부산·울산항과 미국 시애틀·타코마 항 간 컨테이너선 항로와 자동차운반선 항로를 ‘예비 녹색해운항로’로 선정했다.

한-미 간 녹색해운항로 운영이 본격화되어 컨테이너 선박 한 척이 부산항과 시애틀항 사이를 1년 동안 그린 메탄올, 그린 암모니아 등 무탄소연료로 운항하는 것을 가정하였을 때, 자동차 약 32,000여대의 연간 탄소배출량에 상당하는 탄소를 저감하는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싱가포르와는 올해 한국-싱가포르 수교 50주년을 계기로 녹색해운항로 구축 협력을 추진하여 우리나라와 싱가포르, 유럽을 잇는 ’메가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추진한다. 덴마크와는 MOU 체결, 연구기관 간 교류를 통해 무탄소 선박 실증·보급 확산 등 친환경 선박 기술협력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해수부 "데이터 부족한 녹색항로위해, 각국 협력 통한 R&D 적극 추진"

해수부 관계자는 녹색경제에 “녹색해운항로는 R&D가 중요하다. 그린 메탄올, 그린 암모니아 등 어떤 친환경 연료를 활용하면 위험성이 존재한다든지, 어떤 선박이 어떻게 운항해야 타당성과 경제성이 있을지 연구 근거가 아직 부족하다”며 “따라서 MOU를 통해 관련국들과 연구협력이 꼭 필요하고, 이를 토대로 가장 친환경적인 루트를 찾아내는게 중점”이라고 말했다.

한편, 해수부는 해당 프로젝트의 성과가 축적되면, ’한국형 녹색해운항로‘ 프로젝트를 가동해 개도국에도 전파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

박성진 기자 pol@greened.kr

▶ 기사제보 : pol@greened.kr(기사화될 경우 소정의 원고료를 드립니다)

▶ 녹색경제신문 '홈페이지' / '페이스북 친구추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