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삼성과 현대차의 '전장' 동맹이 확대됐다. 현대자동차 대형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팰리세이드에 삼성전기가 인캐빈 카메라 모듈을 공급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자동차 외부에 탑재되는 카메라 뿐만 아니라 내부까지, 또 적용 차종도 늘어나 삼성과 현대차의 전장 협력이 더 공고해지는 모습이다.
27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기는 팰리세이드에 인캐빈 카메라 모듈을 3분기부터 양산, 공급하고 있다. 삼성전기가 현대차 주력 모델에 인캐빈 카메라를 공급하는 건 이번이 처음이다.
인캐빈 카메라는 운전자를 모니터링할 때 쓰인다. 운전자 시선, 얼굴 각도, 눈 깜박임 등을 실시간으로 인식해 졸음운전이나 주의산만을 감지, 안전 운전을 가능토록 하는 기술이다.
DMS(Driver Monitoring System)라고도 불리며 모듈은 적외선 센서와 적·녹·청(RGB) 카메라를 결합한 형태로 구성됐다. 팰리세이드에는 스티어링휠 위에 탑재된다.
삼성전기는 2023년 10월 현대·기아차의 1차 협력사가 됐다. 현대가 필요로 하는 카메라 개발에 참여하고, 중간 과정 없이 직접 납품할 수 있는 자격을 얻게 된 것이다. 양사는 이후 공조를 시작했는데, 이번 인캐빈 카메라 공급은 협력 범위가 확대된 것이어서 주목된다.
삼성전기가 그간 공급했던 카메라는 서라운드 뷰 모니터(SVM)용이었다. 자동차 외부에 탑재돼 운전자에게 차량 외부 영상을 보여줘 주차 등 안전운전을 돕는데 활용됐다.
인캐빈 카메라는 차량 밖에 있던 카메라가 안으로 들어온 것이다. 예를 들어 운전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거나 차량 내부에서 물건을 찾기 위해 전방 주시를 하지 않는 순간 카메라가 운전자의 시선을 추적해 경고음을 울리며 전방을 주시하도록 돕는다. 운전자가 운전 중 의식을 잃는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자동으로 차량을 안전하게 정차하고 응급 신고도 한다.
차량 내 돌발 상황에 대처할 수 있기 때문에 최근에는 신규 차량에 인캐빈 카메라(DMS) 탑재가 늘어나는 추세다. 유럽연합(EU)은 2026년부터 신차에 DMS 탑재를 의무화할 예정이며, 북미·중국 등에서도 유사한 법규 도입이 논의되고 있다. 현재는 차량 내부 카메라 수가 1대당 1대 수준이지만 향후 보조석이나 뒷좌석까지 3~5개 수준으로 확대될 전망이다.
시장조사업체인 스트래티스틱 MRC는 글로벌 DMS 시장이 2024년 27억6000만달러(약 3조9800억원)에서 2030년 50억3000만달러(약 7조2500억원)로 연평균 10.5% 성장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전기가 현대차가 요구하는 까다로운 품질 기준을 충족해 부품을 실제 대량 양산 공급했다는 점에서 기술력과 품질·신뢰성 역량을 입증한 것으로 평가된다”며 “삼성전기와 현대차 간 협력이 본격 확대될 것”이라고 전했다.
김영호 기자 lloydmind@etnews.com

![애플은 실패, 샤오미는 해냈다…'스마트카' 만든 中보이는 손 [창간 60년-中혁신 리포트]](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d57e26e7-d6bf-4e84-8ed5-e05ef362d8ae.jpg)




![[CMG중국통신] 중국 eSIM 본격 도입… ‘무(無)심카드 시대’ 코앞](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7/c73060f8-7446-4620-a717-39a4e9807d1a.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