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올해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사회탐구를 선택한 수험생 비율이 역대 최고를 기록한 가운데 현재 고등학교 2학년이 치르는 2027학년도 수능에는 이 비율이 80%를 넘을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24일 종로학원은 올해 고2 전국연합학력평가 사회탐구와 과학탐구 전체 응시인원 중 사회탐구 비율은 3월 51.2%, 6월 53%, 9월 56.7%로 지속해 확대됐다며 이같이 분석했다. 종로학원에 따르면 다음 달 시행되는 2026학년도 수능에서 사회탐구 과목을 1개 이상 선택한 수험생이 전체의 77.3%로 나타났으며 2027학년도에는 80%를 넘어 사상 최고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과학탐구만 선택한 수험생은 2026학년도 22.7%에서 2027학년도에는 10%대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9월 학력평가 기준으로 사회탐구 응시 비율은 전년보다 4.7%포인트 늘어난 수치다. 9월 응시기준으로 사회탐구 생활과 윤리는 전년보다 10%, 사회문화는 4.6%, 윤리와 사상은 7% 각각 증가했다. 전체 사회탐구 9개 과목 응시자는 전년보다 3.8%(1만3828명) 늘었다. 반면 과학탐구는 화학1이 20.2%, 지구과학1이 13.3%, 생명과학1이 12.6%, 물리학1이 10.7% 각각 감소했다. 과학탐구 4개 과목 전체로 전년보다 14.1%(4만6973명) 감소했다.
2025학년도부터 주요대 자연계 학과에서 수능 최저 과목 등으로 사회탐구를 인정하면서 이공계열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과학탐구 대신 사회탐구를 선택하는 ‘사탐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지난달 고3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된 2026학년도 수능 9월 모의평가에서 과학탐구 2등급 이내 인원이 작년 9월 모의평가 대비 35%나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화학Ⅰ의 1∼2등급 인원은 4252명에서 2234명으로 47.5% 줄며 전년 대비 반토막이 났다. 지구과학Ⅰ은 40.9% 줄어든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사회탐구는 2등급 이내 인원이 5883명(9.9%) 증가했다. 세계지리가 41.6%로 가장 큰 증가 폭을 보인 가운데 윤리와사상은 37.5%, 사회문화는 20.6% 각각 늘었다.
임성호 종로학원 대표는 “현행 통합 수능 마지막인 2027학년도에 사탐런 현상은 정점을 찍을 것”이라며 “올해 수능 채점 결과 대학입시 유불리에 따라 2027학년도 사탐런 현상은 겨울방학을 기점으로 현재보다 더 커질 수도 있다”고 말했다.

![한 기관서 440만명 책임…‘수술’ 시급한 국가자격시험 [양종곤의 노동 톺아보기]](https://newsimg.sedaily.com/2025/10/25/2GZBCQ4DQN_3.jpg)
![[단독]30년간 바뀌었지만 갈길 먼 ‘소수자를 바라보는 눈’···동성애자 불관용은 최하위 수준](https://img.khan.co.kr/news/r/600xX/2025/10/24/news-p.v1.20251023.6ca12ba5554240c994ecaec063bc6b63_P1.webp)

![취약층 빚탕감 3000만원으로 ↑… ‘미성년자’도 대상 포함 [AI 프리즘*대학생 취준생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VY8FPQ_1.jpg)
!['통장잔고'보다 바닥난 '감정잔고'…박 대리는 오늘도 헤어질 결심중 [북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4/2GZAYE67MA_1.png)
!["땡처리·초특가" 거들떠도 안 본다…'이것'에 돈 쓰는 엄마들 [비크닉]](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0/25/c909f5c9-1fd6-4876-ad1c-ed5b084bd68e.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