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11/2GOXF3LPAC_1.jpg)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 2심 재판에 대해 "재판 지연이라고 하는 데 사실 매우 빨리, 사상 최대로 빨리 항소심이 진행되고 있고 이에 대해 우리는 불만도 걱정도 없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11일 유튜브 ‘김어준의 겸손은힘들다 뉴스공장’에서 1년여 만에 출연해 공직선거법 2심과 함께 지난 12월 계엄상황을 비롯해 19대 대선 당시 문재인 대통령과의 경쟁 등을 말했다. 특히 성장과 관련해 “기업에서 빼앗는 게 아닌 새로운 성장 영역을 반드시 발굴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받은 공직선거법 1심과 관련해 이 대표는 “1심에서 이렇게 되리라 상상하지 못했다"며 "2심 판결은 3월쯤 나올 것”이라고 했다. 2심 재판 후 대법원판결까지는 두 달 이상이 걸릴 것이라고 확신했다.
대선 출마와 관련해선 “일단은 내란 사태를 극복하는 게 중요하다”며 “지금 그 얘기를 하면 불필요한 논란에 빠진다”고 했다. 최근 비명계의 비판이 거세지는 것에 대해서는 "지난 대선에서 진 것에 대해서 가장 큰 책임은 제게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도"이번 대선은 누가 이기느냐는 다음 문제이고, 이기냐 지냐가 제일 중요하다"며 "헌정질서를 파괴하는 보수 아닌 보수집단이 재집권한다면 카오스"라고 말했다.
이 대표는 연일 강조하는 성장담론도 재차 밝혔다. 그는 "직장을 잃더라도, 경쟁에서 탈락하더라도 기본적인 삶이 보장되는 기본사회를 우리 공동체는 감당할 능력이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저는 격차 해소라는 말을 쓰지 않는다. 그건 불가능하다"라며 "지금보다 덜 벌어지도록 완화, 축소, 이 정도는 해야 한다. 그러면 나눌 수 있는 새판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반도체산업의 주 52시간 근로시간 제한 예외를 반도체특별법에 담지 않는 쪽으로 기운 것을 두고 '도로 좌클릭'이라는 비판이 나오는 것을 두고도 입장을 바꾼 게 아니라는 취지로 반박했다. 그는 "(반도체특별법에) '총노동시간은 늘리지 않고 추가수당을 지급한다'는 단서를 다는 것인데, 그러면 기업 입장에서도 이 제도를 선택할 이유가 없다"며 "경영계도 '그보다는 기존에 있는 (노동시간 변형) 제도를 활성화할 수 있도록 해달라'는 것으로 입장이 바뀌었다고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