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 관악구청은 8월 19일 오후 본관 대강당에서 ‘2025 Dr. Yasin 인공지능 워크숍’을 개최하며 스마트시티의 미래 비전을 공유했다.
이번 워크숍은 관악구청(구청장 박준희)과 관악상공회의소(회장 김상수)가 공동 주관하고, 한국정보교육원(대표 김선경)이 후원했다. NASA 출신 과학자이자 존스홉킨스대 교수인 Dr. Alhassan Yasin(알하산 야신 박사)과 글로벌 AI 혁신 그룹 YST가 참여해 기술과 도시 설계의 접점을 중심으로 강연을 진행했다.
첫 번째 세션에서 야신 교수는 스마트시티를 단순한 기술 집적이 아닌 ‘사람 중심의 도시 설계’ 관점에서 접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디지털 트윈(Digital Twin), 에이전트 AI(Agent AI) 등 첨단 기술이 여전히 현실에서 한계에 부딪히는 이유를 구체적으로 설명했다. 특히 인간 행동의 예측 불가능성, 재정적 부담, 시스템 단절, 부서 간 협업 부족 등이 기술 도입의 주요 제약 요소로 남아 있음을 지적하며, “기술적 완성도보다 시민과 조직 간 협력이 지속 가능한 스마트시티 구현의 핵심”이라고 밝혔다.
이어진 2부 세션에서는 스마트시티 전략의 5단계 로드맵이 소개됐다. 커뮤니티 기반 비전 수립, 참여형 파일럿 프로젝트, 지역 역량 강화, 데이터 기반 거버넌스, 지속적 진화를 포함한 단계별 접근법을 중심으로 실제 적용 사례와 고려해야 할 정책적·재정적 사항이 공유됐다. Yasin 교수는 “데이터와 기술보다 중요한 것은 시민 참여와 협력”이라며, 포용적 참여와 실질적 피드백이 결합될 때 스마트시티 모델이 성공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관악구는 이미 IoT 기반 안전망, 스마트 모빌리티, AI 기반 복지 서비스 등 다양한 스마트 시범사업을 진행 중이다. 박준희 구청장은 이번 워크숍을 계기로 관악구를 서울을 대표하는 스마트 혁신 지구로 도약시키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그는 “단순히 기술을 설치하는 것을 넘어, 시민과 함께 문제를 정의하고 해결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핵심”이라고 말했다.
마지막 Q&A 시간에는 시민 참여 확대,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 실무 협력 체계 마련 등 실질적 방안을 주제로 심도 있는 논의가 이어졌다. 참가자들은 단순 강연을 넘어, 스마트시티 추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현실적 문제와 대응 전략을 토론하며 워크숍의 실질적 의미를 높였다.
이번 행사는 기술 중심이 아닌 사람 중심, 협력 중심의 스마트시티 구현 방향을 조명하며, 관악구가 향후 AI와 스마트 기술을 활용한 지속 가능한 도시 모델을 구축하는 데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정보보안 대표 미디어 데일리시큐 / Dailysecu, Korea's leading security m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