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06/2GOV5XFYCT_2.jpg)
마코 루비오 미국 국무부 장관이 남아프리카공화국이 주최하는 주요 20개국(G20) 외교장관회의에 불참하겠다고 밝혔다. 남아공 정부가 추진하는 토지 몰수 정책 등이 트럼프 행정부가 반대하는 DEI(다양성·형평성·포용성)를 장려하고 있다는 점을 이유로 들었다.
루비오 장관은 5일(현지 시간) 엑스(X)에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리는 G20 회의에 참석하지 않겠다”고 선언했다. 올해 G20 정상회의 의장국인 남아공은 오는 20∼21일 요하네스버그에서 G20 외교장관회의를 주최한다.
그는 “남아공은 사유 재산을 수용하고 G20을 ‘연대, 평등, 지속가능성’을 장려하는데 이용하고 있다”며 “다시 말해 DEI와 기후변화에 대한 대응을 장려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내 일은 미국의 국익을 증진하는 것이지 납세자의 돈을 낭비하거나 반미주의를 친절하게 받아주는 게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루비오 장관의 불참 선언은 남아공의 토지 수용 정책에 대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문제 제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남아공 정부는 아파르트헤이트(인종차별 정책) 잔재 청산의 일환으로 토지 무상 수용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남아공은 아파르트헤이트 당시 흑인 재산권을 인정하지 않고 토지를 빼앗았고, 그 여파로 지금도 인구의 8%에 불과한 백인이 경작지의 약 4분의 3을 소유하고 있다. 시릴 라마포사 남아공 대통령은 이 문제를 시정하기 위해 지난달 개인의 토지를 ‘공익 목적으로’ 보상 없이 수용할 수 있게 하는 법에 서명했다. 단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남아공 태생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를 비롯한 일부 우익 인사들은 이 법이 백인 재산권을 침해하는 역차별이라고 주장했다. 트럼프 대통령 역시 지난 2일 남아공의 토지 수용 정책을 ‘특정 계층을 매우 나쁘게 대우하는 토지 몰수’라고 비판하며 관련 조사가 완료될 때까지 남아공에 대한 미국의 지원을 중단하겠다고 선언했다. 남아공 측은 이 법이 투기 목적으로 보유하거나 버려진 토지인 경우 등 특정 조건을 충족하고 소유주와 합의하는 경우에만 수용을 가능하게 하는 법이라며 차별적 요소가 적다고 주장하고 있다.
한편 루비오 장관이 불참하면 G20 외교장관회의를 그와 첫 회담 기회로 여겨온 여러 국가 외교 당국의 구상에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외교가에서는 조태열 외교부 장관이 이 회의에서 루비오 장관과 만날 가능성을 거론해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