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료 AI, 글로벌까지 데이터 폭 넓혀 시장 선점해야”…AI G3 강국 신기술 전략 포럼

2025-05-14

고령화 추세 속 건강한 사회를 위해 의료·헬스케어 산업 내 인공지능(AI) 중요성이 다시 한번 대두됐다. 그동안 제기된 의료데이터 개방과 표준화, 규제 개선 외에도 국가간 협력과 실증 지원으로 글로벌 의료 AI 시장을 주도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제언했다.

정동영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최형두 국민의힘 의원은 14일 국회 의원회관에서 AI G3 강국 신기술 전략 포럼 5차 회의를 개최했다. 이날 회의는 AI를 활용한 헬스케어 산업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발제를 맡은 황희 카카오헬스케어 대표는 AI로 병원과 환자의 실시간 연결이 가능해졌다고 진단했다. 미세바늘을 부착해 채혈하지 않고도 혈당을 실시간 확인하는 '파스타'가 대표적이다.

황 대표는 “주치의도 환자 혈당을 즉시 확인하면서 식단과 운동 습관 등을 조언한다”면서 “1년간 약 300만개의 데이터가 축적되니 센서 없이도 환자 혈당을 예측하게 됐다”고 말했다. 의사 지시 없이 사용자 스스로 건강을 관리하는 시대가 앞당겨졌다는 설명이다.

황 대표는 병원과 기업, 정부가 서로 데이터를 공유한다면 헬스케어 산업이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진단했다. 그는 “데이터 정제만 되면 거대언어모델(LLM)을 활용해 기존 6개월에 걸리던 데이터 분류 작업이 2주까지 단축된다”면서 “병원에서 AI로 다양한 임상을 진행하면 유망기업이 지속 창출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어 발제를 진행한 서범석 루닛 대표는 세계 보건의료가 AI를 중심으로 급속히 재편되는 상황에서 정부 지원 확대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서 대표는 선진국 시장을 겨냥한 전략적 연구개발(R&D) 트랙 신설을 제안했다. 북미·유럽을 목표로 한 데이터 확보, 임상시험, 컨설팅, 허가 등을 연계 지원해 글로벌 시장 안착을 돕기 위해서다.

중저소득국 대상 정부 협력 모델도 제시했다. 개발도상국에서 한국 기술 수요가 높지만, 현지 정부 예산 부족으로 성과 창출이 어렵기 때문이다. 그는 루닛이 호주 국영 유방암 검진 운영권을 수주한 사례를 예로 들었다.

서 대표는 “유럽을 비롯한 많은 나라는 국가 프로젝트로 진행되는 만큼 정부간 협력으로 우리 의료 AI를 확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패널 토론에서는 국내 의료 AI 활용을 위해 정책 개선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정명진 삼성서울병원 AI연구센터장은 “의료 AI에도 흉부, 유방 등 종류가 다양해 하나하나 구독하려면 비용이 많이 든다”면서 “혁신의료기기 같이 수가를 적용하는 방안이 있으면 한다”고 말했다.

정태명 히포티앤씨 대표는 “정부가 AI 바우처사업으로 의료 AI 실증을 돕고 있지만 경쟁률이 수십대일에 이를 정도로 치열하다”면서 “예산을 크게 늘려 도전하는 기업에 기회가 많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밖에도 의료 AI 기업 관계자들은 국민건강보험공단과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데이터 개방, 의료 AI 제품 비급여 상한 해소, 개인정보 관련 규제 완화 등을 건의했다.

박윤규 정보통신산업진흥원장은 “병원 현장과 의료 AI 기업의 간극을 좁힐 수 있도록 기술과 제도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송윤섭 기자 sys@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