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죽음 값으로 여행 다녔다…집 경매 넘어간 84년생 최후

2025-04-28

의뢰인은 경매 낙찰자였다.

소름 끼치는 사연이었다.

주변에서 종종 아파트가 경매로 넘어가는 걸 본다.

채무나 체납 때문에 집을 압류당하고 결국엔 소유권까지 넘기는 경우다.

의뢰인은 32평 아파트를 낙찰 받게 된 사람이었다.

원래 집주인은 84년생.

그 정도 입지에 그 정도 평형치고는 젊은 사람이었다.

낙찰자는 소위 ‘경매꾼’이라고 하는 전문가가 아니었다.

자신이 직접 살기 위해 집을 마련하다가 경매가 싸다는 소리를 듣고 물건을 구한 모양이었다. 그래서 ‘권리분석’이니 ‘점유’니 하는 골치아픈 문제와 해결 방법을 잘 몰랐던 것 같다.

시세보다 싼 값에 집을 마련했다고만 생각한 것이다.

이사 전에 인테리어를 하러 집에 갔더니 이전 집주인이 거주하고 있었다.

얼굴을 마주보고 상황을 해결하고 싶었지만 젊은 남성은 문도 열어주지 않았다.

전 집주인이 대화 자체에 응하지 않자 의뢰인은 현관문에 메모를 붙이기 시작했다.

낙찰자가 취할 수 있는 법적인 조치가 있지만 그냥 ‘상식적으로’ 해결하고 싶었다고 한다.

2, 3일에 한번 방문해 메모지로 퇴거를 호소한 것이다.

갈 때마다 메모지는 사라져 있었다.

젊은 남성이 보긴 봤다는 이야기다.

다만 그것이 전부.

응답도 없고 메모지만 떼어갈 뿐이었다.

두 달여에 걸친 지루한 메모지 호소전.

그러다 어느날부터인가 메모지가 현관에 그대로 붙어있었다.

그제서야 불현듯 뒷목에 소름이 돋았다.

집을 비웠으면 뭐라도, 욕이라도 한 줄 남겼을 텐데….

의뢰인은 그때부터 온갖 안 좋은 상상이 가지를 치며 공포에 침식당하기 시작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