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당장 눈앞의 월급만 보고 회사를 선택할 것이 아니라 자기 계발을 위해 훌륭한 인재들이 일하는 곳인지를 따져봤으면 합니다.”
서보경 전 넷플릭스 동북아시아 마케팅전략 총괄매니저가 취업준비생과 이직을 준비 중인 직장인들에게 전하는 당부다. 서 전 매니저는 보스턴컨설팅그룹(BCG) 컨설턴트로 일하다 넷플릭스에 비콘텐츠 분야로는 한국인 최초로 입사해 ‘오징어 게임’의 흥행을 이끈 주역이다. 최근 넷플릭스의 성공 스토리를 다룬 책 ‘넷플릭스 인사이드’를 내놓은 서 전 매니저는 28일 서울 여의도의 한 사무실에서 진행된 서울경제신문과의 인터뷰에서 “보통은 회사를 선택할 때 돈과 미래 성장 두 가지를 보는데 가장 중요한 점은 최고의 동료들과 함께 일하면서 자신이 얼마만큼 성장할 수 있느냐”라며 “입사 전 내가 함께 일할 윗사람·옆사람·아랫사람들이 진심으로 존중할 만한 사람들이고 협력적 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지를 꼭 고민하기를 바란다”고 조언했다.
‘넷플릭스 인사이드’는 스타트업으로 시작한 넷플릭스가 거대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 플랫폼으로 성장하기까지의 과정과 업무 및 인재 채용 방식, 의사 결정 구조 등을 내부자의 시선으로 생생하게 전하고 있다. 높은 연봉과 무제한 휴가, 호텔급 구내식당, 한도 없는 법인카드 등의 파격적인 복지가 제공되지만 결과물에 대한 책임도 오롯이 본인이 져야 한다. 서 전 매니저는 “보상은 최고 수준이지만 ‘기대에 미치지 않으면 이별’이라는 잔혹한 프로 구단 룰이 존재한다”며 “넷플릭스에서 보낸 시간은 화려함과 냉혹함이 공존했다”고 전했다.
그가 넷플릭스에 입사하는 과정은 파격의 연속이었다. BCG에서 컨설턴트로 재직 중일 때 지원서를 낸 적도 없던 넷플릭스로부터 채용 제안 메일이 왔다. 이후 총 여섯 차례의 인터뷰와 연봉 협상까지 입사를 결정짓는 모든 과정이 2주 만에 마무리됐다. 마케팅 전략 분야에서 한국인 1호 입사자다. 서 전 매니저는 “면접에서 첫 질문이 ‘넷플릭스에서 가장 좋아하는 오리지널 콘텐츠 세 가지를 말해보라’였는데 당시 코로나19로 하루 10시간씩 넷플릭스를 보던 때라 망설임 없이 ‘블랙 미러’ ‘빌어먹을 세상 따위’ ‘킹덤’을 얘기했더니 깜짝 놀라더라”며 “오리지널과 그 외 콘텐츠를 구분하지 못할 것으로 생각했던 것 같다”고 돌아봤다. 이어 “연봉을 직접 제시해달라는 요청을 받고 업계 최고 수준을 불렀더니 회사에서 더 높은 금액으로 입사를 제안했다”며 “1시간 만에 서명했다”고 덧붙였다.

한국사무소가 생기기 전부터 일해온 서 전 매니저는 넷플릭스에서 K콘텐츠의 초기 성장을 이끌었다. 콘텐츠에 대한 예산편성과 시장분석, 마케팅비 집행이 그를 통해 이뤄졌다. 대표적인 작품이 ‘오징어 게임’과 ‘사랑의 불시착’ ‘킹덤 시즌2’다. 그는 업무 성과를 인정받아 한국에 이어 일본·대만·홍콩까지 4개국의 마케팅 전략을 총괄하는 자리에 올랐다.
아이러니하게도 퇴직은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흥행 기록을 써 내려가던 시점이었다. 30대 초반에 글로벌 빅테크 기업 임원 수준의 연봉을 받으며 탄탄대로를 달리던 그가 돌연 퇴사를 결심한 것은 새로운 경험에 대한 갈증 때문이었다. 서 전 매니저는 “잘린 거 아니냐는 오해가 있는데, 사실은 제 발로 걸어 나왔다”며 “넷플릭스는 최고 수준의 연봉과 동료들, 성장 가능성까지 3박자가 모두 갖춰진 완벽한 직장이었지만 테크 기업이 아닌 완벽한 엔터테인먼트 회사이고 아티스트들이 주인공인 회사”라고 평가했다. 이어 “제가 그만둔 시점이 ‘오징어 게임’이 전 세계적으로 대박을 터트릴 때였는데, 박수 칠 때 떠나야겠다는 생각밖에 없었다”고 설명했다. ‘오징어 게임’이 서 전 매니저의 커리어를 통틀어서 가장 큰 성과이자 동시에 퇴사를 결심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 작품이 된 셈이다.
서 전 매니저는 넷플릭스 퇴사 이후 애널리스트로 샌퍼드번스틴 홍콩, BCG 서울 등에서 활동했다. 그는 애널리스트 관점에서 넷플릭스의 기업가치와 성장성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서 전 매니저는 “OTT 산업은 스케일(규모)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데 가입자가 많고 구독료가 커질수록 판권을 많이 확보할 수 있고 우수한 조건과 협상력을 발휘할 수 있다”며 “후발 주자들이 따라올 수밖에 없는 구조이고 넷플릭스가 독점적 지위를 이어갈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서 전 매니저는 넷플릭스 같은 조직 문화를 한국 기업에 이식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는 “불가능하지 않다”고 했다. 그는 “우리나라 기업들이 지금까지 경직된 일본식 조직 문화를 따라왔다면 점차 개방적이고 유연한 미국식 조직 문화를 받아들이고 변화해야 할 시점”이라며 “회사의 문화와 기업가치·철학에 맞게 채용과 임금구조 등 조직 운영 전반에 걸쳐 새로운 방향성을 고민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서 전 매니저는 넷플릭스에서의 경험을 토대로 콘텐츠 제작자라는 새로운 분야에 도전할 계획이다. 그는 “저를 사칭해 ‘넷플릭스 작품에 출연시켜주겠다’며 사기 행각을 벌인 이들의 이야기를 소재로 사이코패스 범죄 스릴러를 만들고 있다”며 “영화 제작자로 작품을 통해 인사드리겠다”고 전했다.
![“회사 선택, 월급보단 휼륭한 인재들 일하는지 따져야” [AI 프리즘*신입 직장인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0/29/2GZD6A0IMO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