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증시 유일 AI 반도체 제조 상장사 '캠브리콘'
'중국판 엔비디아' 타이틀, 국산 AI칩의 선두기업
올해 140%↑, 귀주모태 주가 추월 '신흥 황제주'
이 기사는 9월 2일 오후 4시38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최근 중국 본토 A주 시장에 이정표적 사건으로 기록될만한 이슈가 터졌다.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산하의 기술주 전용 시장인 과창판(科創板∙커촹반)에 상장된 중국증시 유일의 AI 반도체 상장사 '한무기(寒武紀∙Cambricon∙캠브리콘 688256.SH, 이하 한무기로 통일)'가 A주 황제주라 불리는 귀주모태(600519.SH)의 주가를 앞지르며 '신흥 황제주'로 탄생한 것이다.
한무기를 수식할 때 항상 따라붙는 타이틀인 '중국판 엔비디아(NVIDIA)' 한 단어로 한무기를 둘러싼 폭발적인 투자열기의 이유가 설명이 된다.
미국의 대중국 공급망 규제 압박 속 중국 당국의 엔비디아의 대항마 육성 의지가 더욱 커진 가운데, 정부라는 강력한 지원군을 등에 업고 빠르게 성장할 한무기에 대한 기대감이 자금을 빨아들이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
최근 중국 현지 온라인 상에서는 불한이율(不寒而票)이라는 사자성어가 한무기 버전의 신조어로 재탄생해 유행하고 있다. 본래 불한이율은 '춥지 않음에도 떨다'라는 뜻으로 매우 두려워하는 모양을 묘사하는 사자성어다. 하지만, 최근에는 한(寒)을 한무기(寒武紀∙Cambricon 688256.SH)에 빗대, 한무기 주식을 보유하지 못해 불안하고 두려워하는 현상을 비유하는 말로 쓰여지고 있다. 한무기 열풍을 실감케 하는 대목이다.
올해 들어서만 140% 이상 오른 한무기가 오랜 기간 상승세를 이어갈 수 있을 지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한무기가 엔비디아에 맞설만한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는 역량을 갖춘 기업인 지 진단해 보고자 한다.

◆ 귀주모태 주가 추월, '신흥 황제주' 탄생
8월 28일 한무기는 1587.91위안으로 장을 마감해, 귀주모태가 이날 기록한 종가 1446.10위안을 넘어섰다. 28일 종가 기준으로 올해 들어 한무기의 주가는 이미 141% 이상 오른 상태다.
이날 한 현지 매체는 "중국 과학기술의 진보를 선도하는 대표주자로, 시장은 '한왕(寒王, 한무기 왕)'의 활약을 기대하고 있다"면서 "새로운 황제주는 중국 자본시장에 대한 신뢰도의 제고 및 자금유입 확대를 이끌 방향타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는 평을 내놨다.
한무기가 A주의 새로운 황제주로 떠오른 당일 때마침 엔비디아가 2분기 실적을 발표했는데 시장의 예상치를 웃도는 양호한 성적을 기록했음에도 예상치 상회 폭이 생각보다 미미했다는 평가를 받으면서 시장의 실망감은 커진 상태였다.
반면, 그 전날 한무기는 올해 상반기 매출이 43배(4300%) 이상 증가하고, 역대 최초로 흑자를 달성했다는 소식을 전했다. 이는 한무기가 중국 대표 AI 반도체 기업으로 성장할 것이라는 기대감에 한층 더 힘을 실어주는 소식이 됐다.
9월 1일 글로벌 대형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1주 만에 다시 한무기의 목표가를 한 차례 더 상향 조정해 향후 12개월 내 2104위안까지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한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한무기는 아직 후선강퉁 거래 종목으로 편입돼 있지 않아 외국 개인이 직접 매수할 수는 없기 때문에, ETF 상품을 통해 간접 매수해야 한다.

◆ 매출 4000% 폭증, 상장 후 최초 흑자전환
2020년 7월 20일 중국 상하이증권거래소 산하의 기술주 전용 시장인 과창판(科創板∙커촹반)에 상장한 한무기는 중국증시의 유일한 AI칩 상장사다.
한무기는 7nm 첨단 공정 기반의 물리 설계 기술을 기반으로 '쓰위안(思元) 100', '쓰위안 220', '쓰위안 270', '쓰위안 290', '쓰위안 370' 등 여러 핵심 칩 개발을 통해 제품 성능을 크게 향상시켰다. 특히 지난 2018년 5월 공개된 'MLU100' 모델은 중국 최초의 클라우드 AI 칩으로 기록돼 있다.
독자 개발한 AI 칩과 통합형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바탕으로, 클라우드-엣지-단말이 하나로 연결된 지능형 컴퓨팅 생태계를 구축한 상태다.
개발한 제품들은 대형언어모델(LLM) 훈련 및 추론, 스마트 비전, 음성 처리, 추천 시스템 등 대표적인 AI 응용 시나리오에서 우수한 성능을 보였을 뿐 아니라 통신사, 금융, 인터넷 등 여러 주요 산업에서 대규모로 도입되며 강력한 시장 적응력과 업계 침투력을 입증했다.
올해 상반기 영업수익(매출)은 28억81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347.82%의 폭발적 성장을 이뤄냈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295.82% 증가한 10억3800만 위안으로 적자에서 흑자로의 전환에 성공했다.
2분기 단독 매출액은 17억69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4425.01%, 전 분기 대비 59.19% 상승했다. 지배주주 귀속 순이익은 6억8300만 위안으로 전년 동기 대비 324.97%, 전 분기 대비 92.03% 늘었다.
과창판에 상장한 2020년부터 5년 연속 순손실을 기록하며 적자 행진을 이어간 한무기는 올해 1분기 처음으로 흑자로의 전환에 성공했다.
상반기 실적 개선의 일등 공신은 클라우드 제품군이었다. 해당 기간 사업별 매출 비중을 살펴보면 클라우드 제품군의 매출 비중은 99.6%에 달했다. 2024년 연간 기준으로도 99.3%를 차지했다.
2025년 상반기 한무기의 클라우드 쓰위안 시리즈 칩셋은 지속적으로 출하량을 확보했고, 데이터센터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어 대형언어모델(LLM)을 비롯한 다양한 AI 학습 및 추론 업무에 활용됐다.
엔비디아 H100 칩의 80% 성능을 갖춘 것으로 전해진 쓰위안 590을 비롯해 2026년 양산 예정인 쓰위안 690 시리즈는 향후 한무기의 실적 성장에 강한 성장 동력이 되어줄 것으로 기대된다.
<'중국판 엔비디아' 캠브리콘② 마오타이 징크스 극복할까><'중국판 엔비디아' 캠브리콘③ AI칩 리더 자격 객관적 진단>으로 이어짐.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