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답풀이] "비행기 안떠도 새떼 퇴치는 계속"…항공기 화재사고 방지 대책 곧 마련

2025-02-06

[서울=뉴스핌] 이동훈 선임기자 = 공항 내 항공기와 새 떼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조류탐지 레이더가 도입된다. 특히 지금은 인천공항, 김포공항, 김해공항, 제주공항에만 있는 야간 조류탐지용 열화상카메라는 모든 공항에 설치된다. 아울러 조류 퇴치 인력의 2인 상시 근무체계 마련을 위해 이달 중 인천·한국 두 공항공사가 인력을 추가로 모집한다. 이들 세 때 퇴치 인력은 향후 세 떼 출몰과 항공기 운항 빈도를 감안해 재조정할 방침이다.

아울러 12.29 사고의 직접적인 원인인 콘크리트 지지대 방위각 시설은 연내 개선 완료를 목표로 일부공항에 대해서는 상반기 개선을 추진한다. 또한 최근 발생한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사고를 기해 항공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재조정이 있을 예정이다. 다음은 국토교통부 주종완 항공정책실장 및 항공정책실 관계자들과의 일문일답.

문) 조류충돌 예방 인력의 2인 상시근무체계를 도입한다고 했다. 그동안 2인 상시 근무가 이뤄지지 않은 곳은 어느 공항인가? 조류 퇴치 인력 2명은 근무 영역은?

답) 인천공항을 포함한 전국 15개 공항 가운데 2인 상시 근무체계를 실시하는 공항은 9곳. 나머지 공항은 항공기 운항 빈도에 따라 1명이 근무하는 경우가 많다. 조류 퇴치 인력은 활주로 1본을 맡으며 인천공항과 김포공항의 경우 활주로 당 4명의 퇴치 인력이 근무한다.

문) 조류퇴치 인력 모집 규모 및 운영 방향은 어떻게 되나?

답) 전국 공항에서 총 150명을 확보한다는 게 단기 방침이다. 이후 새 떼 출몰 빈도와 항공기 운항 빈도 등을 살펴 재조정한다. 상시 2인 인천공항은 48명이 필요한데 8명이 부족하며 김해공항은 24명이 필요한데 6명이 부족한 18명이 근무하고 있다. 김포는 충족하고 있다. 인천공항공사는 퇴치 인력을 직접고용하며 한국공항공사는 자회사가 고용하게 된다. 외주는 없다.

문) 조류탐지를 위한 레이더와 열화상 카메라 보급 현황은?

답) 조류탐지 레이더는 현재 설치된 국내 공항이 없다. 4월 항공안전혁신대책 발표시 설치 공항을 발표할 것. 열화상 카메라는 전국 15개 공항 중 인천·김포·김해·제주공항 4곳만 설치돼 있다. 열화상 카메라는 전국 모든 공항에 최소 1개씩이 설치될 것. 신공항인 가덕·대구경북·제주2·새만금 공항에는 기본으로 레이더를 설치한다.

문) 활주로탐지 이탈방지시스템 EMAS의 효과는? 실제 사례 있나?

답) EMAS는 미국 공항에 설치돼 있는데 아직 그 효과에 대한 공식적인 데이터는 없다. 다만 활주로 길이가 짧은 공항에 대해 EMAS를 설치하게 될 것.

문) 항행안전시설에 대한 투자가 대대적으로 이뤄지는데 각각 비용은 얼마나 예상하나

답) 열화상 카메라는 개당 500만원, 조류퇴치 음파 경보기도 500만원으로 예상하며 레이더는 개당 40억원이 소요될 것으로 본다.

문) 이번 에어부산 화재사고로 기내 반입 물품에 대한 변경이 있나?

답) 일단 현 기내반입물품을 변경하지는 않을 예정이다. 다만 배터리 제품에 대해서는 기내반입을 권고하는 캠페인을 실시할 예정이다. 조만간 단기대책이 마련될 것.

donglee@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