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아스테라 랩스의 질주 ① AI 연결성 솔루션의 선두주자

2025-08-07

하이퍼스케일러와 AI 플랫폼에 솔루션 공급

PCIe, 이더넷, CXL에서 기술적 리더십

스콜피오 P 시리즈, 성장의 핵심 동력

엔비디아 등과 파트너십으로 생태계 확장

이 기사는 8월 7일 오후 4시5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인공지능(AI) 혁명의 숨겨진 핵심 플레이어가 투자자들의 주목을 받고 있다. 미국의 반도체 연결 솔루션 전문업체 아스테라 랩스(종목코드: ALAB)가 AI 인프라 구축의 필수 요소인 '연결성'에서 독보적 지위를 구축하며 급성장 가도를 달리고 있다.

지난 6일(현지 시각) 뉴욕증시에서 아스테라 랩스의 주가는 전일 대비 28.66% 급등한 174.39달러로 거래를 마쳤다. 장중에는 183.62달러까지 치솟아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올해 들어 31.66%, 최근 1년간 무려 379.49%의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며 시가총액 287억6000만 달러 규모의 성장주로 자리매김했다.

◆ 연결성이 곧 경쟁력, AI 인프라의 혈관 역할

2017년 설립된 아스테라 랩스는 클라우드 컴퓨팅과 AI 데이터센터를 위한 고대역폭, 저지연 반도체 연결 시스템을 제조하는 회사다. 유명 GPU(그래픽처리장치)나 메모리 반도체들이 주목받는 가운데 이들을 효율적으로 연결하는 '혈관' 역할을 담당하며 AI 인프라의 핵심 축을 형성하고 있다.

다양한 연결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아스테라 랩스는 세 가지 핵심 기술 표준인 PCI 익스프레스(PCIe, 전자 부품간 고속 데이터 전송에 사용되는 연결 유형), 이더넷(컴퓨터 네트워크 기술의 일종), 컴퓨트익스프레스링크(CXL, CPU·GPU·메모리 등 연결)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주요 제품군으로는 프로세서 간 연결성을 확장하는 '에리스(Aries) PCIe/CXL 스마트 DSP(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리타이머', 이더넷을 통해 서버와 스위치를 연결하는 '토러스(Taurus) 이더넷 스마트 케이블 모듈', 메모리 액세스를 확장하는 '레오(Leo) CXL 스마트 메모리 컨트롤러' 등이 있다.

PCIe는 모든 AI 가속기와 TPU(텐서처리장치) 및 GPU의 네이티브 인터페이스로, 서버 내부에서 고대역폭과 저지연으로 데이터를 이동시키는 가장 핵심적인 프로토콜이다. AI 서버가 점점 복잡해지는 추세 속에서 아스테라 랩스의 PCIe 스마트 DSP 리타이머는 신호를 증폭하고 데이터 손실을 방지하는 필수 부품으로 자리잡고 있다.

CXL는 핵심 프로세서와 GPU·AI 가속기· 메모리 등 장치를 연결하는 차세대 프로토콜이다. 기존 PCIe를 기반으로 하면서도 낮은 지연시간과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데이터 이동 속도를 급격히 높이고 실시간으로 여러 자원을 활용하는 캐시 일관성을 제공할 수 있다.

서버와 상위 랙 스위치 간 연결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이더넷 프로토콜은 데이터센터 내 대규모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광범위하게 배포된다. 아스테라의 토러스(Taurus) 이더넷 리타이머 포트폴리오는 구리로 견고한 100Gbps 연결을 가능하게 해, 이러한 연결 병목 현상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준다.

◆ 압도적 2분기 실적, 시장 예상 크게 상회

아스테라 랩스의 2분기 실적은 시장의 기대를 훨씬 뛰어넘는 수준이었다. 매출은 전분기 대비 20%, 전년 동기 대비 150% 급증한 1억9190만 달러를 기록하며 월가 애널리스트 예상치(1억7250만 달러)를 11% 상회했다.

비일반회계원칙(Non-GAAP) 기준 조정 주당순이익(EPS)은 44센트로 예상치 32센트를 37.5% 웃돌았다. 지난해 같은 분기 조정 EPS 13센트와 매출 7690만 달러와 비교하면 각각 238%, 150% 이상의 폭발적 성장을 보인 셈이다.

수익성 지표도 눈에 띄게 개선됐다. 비GAAP 기준 매출총이익률은 76%로 전년 동기 대비 110bp 상승했고, 영업이익률은 39.2%로 550bp 급등하며 7520만 달러의 영업이익을 기록했다. 비GAAP 순이익은 7800만 달러에 달했다.

지텐드라 모한 아스테라 랩스 최고경영자(CEO)는 "20%의 전분기 대비 매출 성장을 통해 견조한 재무 결과를 달성했으며, 수익과 영업현금흐름에서 의미 있는 개선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 스콜피오 시리즈의 파괴적 성장, 차세대 제품 기대감 고조

이번 실적 발표에서 가장 주목받은 것은 '스콜피오(Scorpio) P 시리즈'의 성과다. 컴퓨팅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관리를 돕는 AI 워크로드용 패브릭 스위치인 이 제품은 2분기 중 전체 매출의 10% 이상을 차지하며 회사 역사상 가장 빠른 성장을 기록했다.

더욱 주목할 점은 차세대 'X 시리즈' 패브릭 스위치에 대한 시장의 뜨거운 관심이다. 현재 최소 10곳 이상의 독립 고객사가 도입을 검토 중이며, 2026년 대규모 확장이 예정된 파이프라인이 구축되어 있다. 이 제품군은 AI 가속기당 매출 기여도를 크게 높일 것으로 기대된다.

◆ 지속 성장 모멘텀 확인, 3분기 가이던스도 상향

회사가 제시한 3분기 가이던스 역시 시장 기대를 상회했다. 매출 전망치는 2억650만 달러(가이던스 중간값)로 애널리스트 예상치 1억8070만 달러를 약 14% 웃돌았으며, EPS 가이던스는 39센트로 예상치 34센트를 초과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각각 82%, 70% 증가를 예고한 셈이다.

다만 매출총이익률은 약 75%로 소폭 하락이 예상되며, 운영비는 7600만~8000만 달러 수준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이는 지속적인 연구개발(R&D) 투자 확대에 따른 것으로, 장기적 경쟁력 강화를 위한 전략적 선택으로 해석된다.

◆ 전략적 파트너십으로 생태계 협력 확대

아스테라 랩스는 엔비디아, 알칩 테크놀로지스, AMD 등 업계 주요 기업들과의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엔비디아와의 협력을 통해 'NV링크 퓨전' 생태계를 발전시켰으며, 대만의 알칩 테크놀로지와 협력해 AI 랙 스케일 인프라를 위한 실리콘 생태계를 구축했다.

이러한 파트너십은 단순한 공급 관계를 넘어 AI 인프라 생태계의 표준 수립에 아스테라 랩스가 핵심적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아스테라는 엔비디아의 블랙웰 기반 MGX 플랫폼과 통합되는 AI 서버 전용 솔루션을 제공하며, AI 업계에서의 영향력을 확대하고 있다.

▶②편에서 계속됨

kimhyun0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