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AM] ②알파벳, 'AI 백면서생' 오명을 프리미엄으로 바꾸다

2025-11-25

시너지 결실. 제미나이와 반도체

펀드매니저 최선호 종목 '알파벳''

"AI 리더십 프리미엄 반영되기 시작"

높은 통합도, 오픈AI와 다른 구조

이 기사는 11월 25일 오후 4시20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알파벳, 'AI 백면서생' 오명을 프리미엄으로 바꾸다①>에서 이어짐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단일 지휘 체계 시너지의 효과는 가속했다. 딥마인드가 보유한 알파고·알파폴드의 기초연구 역량과, 브레인이 축적한 수십억 사용자 대상 배포 노하우, 여기에 구글이 2013년부터 자체 개발해 온 AI 연산용 반도체 TPU가 한 지붕 아래 모이게 된 것이다.

◆시너지의 가속

결실의 최근 결과물이 최근 호평을 받는 제미나이3다. 통합 후 2년 남짓한 기간 동안 제미나이1부터 3까지 5단계의 모델을 잇달아 내놓으며 개발 속도를 높였다. 세대별 개발 속도는 물론 성능도 눈에 띄게 달라졌다. 제미나이3 프로는 AI 모델 성능을 비교하는 국제 평가에서 처음으로 1500점을 돌파했고, 수학 능력 평가에서도 새 기록을 세웠다.

세일즈포스의 마크 베니오프 최고경영자(CEO)는 엑스 계정에서 "3년 동안 매일 챗GPT를 썼지만 제미나이3을 2시간 사용한 뒤로는 돌아가지 않겠다고 생각했다"며 "도약 수준이 미쳤다"고 했다. 이어 "모든 것이 더 날카롭고 빠르다"며 "세상이 다시 바뀐 느낌"이라고 했다.

성과는 반도체로도 이어졌다. 알파벳은 작년 6세대 TPU '트릴리엄'으로 제미나이 2.0을 훈련한 데 이어 올해 11월 7세대 '아이언우드'를 구글 클라우드상에서 공급됐다. 아이언우드는 추론 성능에서 칩당 4.6페타플롭스의 성능을 낸다고 한다. 엔비디아의 최신 GPU인 B200(4.5페타플롭스)와 대동소이하다.

TPU의 경쟁력에 대한 외부 인정도 높아지고 있다. 디인포메이션에 따르면 메타는 2027년부터 수십억달러를 들여 자사 데이터센터에 구글 TPU를 배치하는 방안을 협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그동안 엔비디아 GPU에 의존해 온 메타가 구글의 반도체로도 눈을 돌린 셈이다.

◆"AI 리더십 시작"

일부 전문가는 최근 급등한 알파벳 주가에 대해 적극적인 추가 강세론을 내세운다. 주가가 최근 급등한 만큼 단기 추가 상승의 여지가 많지 않다는 의견이 대다수이긴 하나 강세론자들은 아직 밸류에이션이 이른바 'AI 리더십 프리미엄'이 전부 반영되지 않은 상태라고 본다.

현재 알파벳의 밸류에이션은 주가수익배율(PER, 포워드) 기준 2021년 초 이후 처음으로 4년10개월 만에 30배로 올라선 상태다. 과거 10년 평균 추정치 약 23배보다 높다. 혹자는 '고평가' 구간이라고도 할 수 있지만 강세론자들은 AI 리더십 프리미엄이 이제 막 반영되기 시작한 근거로 판단한다.

펀드매니저 사이에서는 알파벳 선호가 두드러진다. 미즈호의 조던 클라인 애널리스트는 지난주 21일 포트폴리오 매니저 15명을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알파벳이 '단연 선호되고 보유된 종목'이었다고 했다. 그는 "알파벳이 이미 AI 게임에서 이겼다"며 제미나이3 출시 이후 AI 리더십이 주가에 충분히 반영되지 않았다고 한다.

◆"AOL의 그림자"

강세론자들이 내세우는 논거는 알파벳의 높은 수직통합도, 그리고 오픈AI의 거래 계약 구조를 둘러싼 우려와의 무관성 등 2가지에 근거한다. 알파벳은 반도체 설계부터 클라우드 운영까지 자립도가 높은 시스템을 갖춰 외부 의존도가 비교적 덜하고 그만큼 관련 위험도도 떨어진다.

최근 알파벳의 약진을 계기로 일부 전문가 사이에서는 오픈AI에 대해 'AOL의 몰락'과 비교하는 시각도 나온다. AOL(아메리칸온라인)은 1990년대 인터넷 초창기를 지배한 미국 다이얼업 접속 서비스 제공업체다. 기술 전환기에 적응에 실패한 '선구자'의 사례로 언급된다.

AOL은 당초 다이얼업 접속(전화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하는 방식)으로 폭발적 인기를 누렸다. 인터넷 접속의 관문 역할을 했다. 하지만 초고속 인터넷(브로드밴드) 시대가 열리면서 다이얼업 기반 사업 모델이 급속히 무너졌다. 통신사 직접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면서 AOL이라는 관문이 사용자들에게 불필요해진 까닭이다.

bernard0202@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