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 용어사전: 공유기 편] 최고 유선·무선 속도, Mesh가 뭐지?

2025-03-31

최고 유선·무선 속도에 따라 기본 성능을 파악할 수 있는 공유기

Wi-Fi 버전에 따라 무선 속도와 사용 가능한 기능에 차이 발생

공유기를 2대 이상 사용해서 Wi-Fi 범위 늘리는 기술인 'Mesh'

[디지털포스트(PC사랑)=방수호 기자] IT 제품에 사용하는 용어는 일상에서 자주 사용하더라도 그 의미를 정확히 모르는 경우가 많다. 특히 PC처럼 복잡한 장치를 다룰 경우 그게 대충 어떤 장치인지는 알아도 관련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은 상당히 어렵다. IT 용어사전 코너는 이해하기 어려운 용어를 최대한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해설해 주는 코너이다. 이번에는 공유기 관련 용어에 대해 소개한다.

최고 유선·무선 속도

최고 유선·무선 속도는 공유기가 네트워크상에서 유선 또는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최고 속도가 얼마인지 알려주는 수치이다. 유선 속도는 LAN 케이블로 PC·콘솔 게임기 등 다른 기기와 유선 연결한 상태에서 낼 수 있는 속도이고, 무선 속도는 Wi-Fi를 통해 PC·모바일 기기 등과 무선 연결한 상태에서 낼 수 있는 속도를 의미한다.

유선과 무선 모두 Mbps(초당 메가비트) 또는 Gbps(초당 기가비트)를 단위로 삼아 측정하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빠른 속도로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보급형 공유기는 최고 유선 속도가 100Mbps, 최고 유선 속도는 300Mbps인 제품이 많은데 그 정도 속도로는 기가인터넷 서비스를 본래 성능으로 이용하기 힘들고, 여러 명이 Wi-Fi에 동시 접속하면 끊김 현상이 발생하기 쉽다.

최고 유선·무선 속도 모두 1Gbps 이상이어야 PC와 모바일 기기를 다수 연결해도 무난한 접속이 보장된다. 속도가 높을수록 높은 성능을 기대할 수 있지만 사용하는 인터넷 서비스와 PC·모바일 기기 등의 속도가 공유기와 비슷한 수준이 아니라면 전체 네트워크 속도는 낮은 쪽에 맞춰지므로 이를 감안해서 알맞은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Wi-Fi

Wi-Fi는 버전에 따라서 최고 무선 속도와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공유기 구매 시 잘 살펴봐야 하는 요소이다. 제품 정보를 보면 Wi-Fi 옆에 숫자가 기재돼 있는데 숫자가 높을수록 최신 버전이라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는 Wi-Fi 7이 최신 버전이며 Wi-Fi 6는 가격 대 성능비가 높은 공유기에 많이 적용되고 있다. Wi-Fi 5는 가격이 매우 낮은 보급형 공유기에 적용되고 있다.

Wi-Fi 6는 IEEE 802.11ax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Wi-Fi다. 주파수 채널 하나를 작은 서브 채널 여러 개로 나눠서 다수의 기기에 데이터를 동시 전송하는 OFDMA 기술, 안테나 별로 서로 다른 기기와 연결해 무선 속도를 향상하는 MU-MIMO 기술을 다운로드 뿐 아니라 업로드 시에도 사용 가능한 점이 특징이다. Wi-Fi 6E라는 확장 표준도 있는데 6GHz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시판 중인 제품 기준으로 최고 무선 속도는 4.8Gbps이다.

Wi-Fi 7은 IEEE 802.11be 표준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Wi-Fi다. 데이터 송신과 수신을 동시에 할 수 있는 MLO 기술과 주파수 여러 개를 함께 활용해 쾌적한 Wi-Fi 환경을 조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물론 Wi-Fi 6 기술도 사용 가능하다. 최고 무선 속도가 매우 빨라서 고급형 Wi-Fi 7 공유기는 데이터를 10Gbps 이상으로 무선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RAM

공유기는 컴퓨터와 마찬가지로 CPU와 RAM을 중심으로 작동하는 기기이다. 당연히 그 두 가지 성능이 높을수록 공유기 성능도 향상되는데 그중 RAM은 용량이 클수록 많은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보급형 공유기는 RAM 용량이 128MB 이하인 경우가 많은데 그런 제품은 사무실처럼 여러 사람이 동시에 공유기에 접속해서 인터넷을 이용하거나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과부하로 인해 네트워크 속도 저하가 발생하기 쉽다.

그런 문제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RAM 용량이 512MB 이상인 공유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물론 RAM 용량이 클수록 공유기 가격도 높아지므로 일반 가정이나 소규모 사무실이라면 256MB 정도인 제품을 고르면 무난하다. 그리고 메모리 종류에 따라서 데이터 처리 속도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DDR2보다는 DDR3·DDR4 메모리가 장착된 공유기를 선택하는 것이 좋다.

Mesh

Mesh(이하 메시)는 공유기를 2개 이상 사용해서 Wi-Fi 범위를 확장하는 기술이다. Wi-Fi 무선 신호는 공유기와 거리가 멀어지거나 장애물이 있는 경우 약해져서 제대로 연결하기 힘들게 되는데, 무선 신호가 약해지는 지점에서 공유기를 추가로 연결하고 이름이 동일한 Wi-Fi를 형성하는 것이 특징이다. 스마트폰 같은 모바일 기기로 공유기의 메시 구성된 Wi-Fi에 접속해 이동하는 경우 무선 신호가 강한 쪽에 맞춰서 자동으로 Wi-Fi 전환이 이뤄지므로 편의성이 높다.

제품에 따라서는 공유기 위치에 따라 최적의 Wi-Fi 환경을 조성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주파수를 선택하거나, 메시를 구성하는 공유기 가운데 오작동하는 제품이 생기면 다른 공유기가 대체하게 해서 Wi-Fi 접속에는 문제가 없도록 하는 기능도 제공된다.

메시를 구성하는 공유기들은 LAN 케이블로 유선 연결하거나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다. 보통 같은 제조사의 공유기를 사용하면 메시 구성이 가능하지만 모델에 따라 제한이 있거나 불가능한 경우도 있으므로 미리 그 점을 살펴보고 적합한 제품을 구매해야 한다.

또한 공유기 대신 Wi-Fi Extender(확장기)를 사용해서 메시 구성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Wi-Fi Extender는 최고 유선·무선 속도가 동일한 공유기와 비교하면 상대적으로 가격이 저렴하고 크기도 작아서 메시 구성 시 유용하다.

▶ 네이버 뉴스스탠드에서 ‘디지털포스트(PC사랑)’를 만나보세요! 구독하기 클릭!

저작권자 © 디지털포스트(PC사랑)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