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위고비’, ‘마운자로’ 등 신종 비만치료제를 구하려 일본으로 원정을 떠나는 이들이 늘고 있다. 규제가 강화된 국내와 달리 일본에서는 체질량지수(BMI)와 무관하게 처방이 가능해, 일부가 이를 ‘새로운 사각지대’로 이용하고 있다.
4일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일본 미용 클리닉을 통한 신종 비만치료제 처방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마운자로’는 국내보다 저렴하고 처방이 비교적 쉬워 ‘일본자로’(일본+마운자로)로 불릴 만큼 인기를 끌고 있다. ‘위고비’는 국내외 가격 차이가 크지 않지만 마운자로는 일본 내 판매가 낮고 접근성이 높아 수요가 집중되고 있다.
일본 현지 일부 미용 클리닉에서는 체질량지수와 관계없이 비만치료제를 처방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용 후기에는 “온라인 문진만으로 처방받았다”, “보험증도 요구하지 않았다”, “마트에서 물건 사듯 얇은 비닐봉투에 마운자로를 담아줘 당황했다”는 등의 경험담이 올라와 있다. 후쿠오카와 도쿄 등 주요 도시에 위치한 클리닉이 대표적인 사례로 거론되며, 저렴하게 처방받을 수 있는 병원이 네티즌들 사이에서 공유되기도 한다. 심지어 일부는 인도 직구를 통해 약을 구입하고 있다. 국내에서 40만 원이 넘는 약을 10만 원 안팎에 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이들은 관세법상 ‘자가사용 3개월분’까지는 개인 휴대품으로 반입이 가능하다는 점을 악용하고 있다. 현행 여행자 휴대품 통관 고시에 따르면, 여행자는 자가사용 목적의 의약품을 3개월 복용량 이내로 들여올 수 있다. 전문의약품은 원칙적으로 처방전이 필요하지만, 세관에서 적발되지 않는 한 사실상 제재 없이 통관된다.
이 때문에 정상 체중임에도 미용 목적으로 약을 구입하거나, 대리 반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췌장염, 장폐색 등 심각한 부작용 위험이 있는 전문의약품이 아무런 안전장치 없이 유통되는 셈이다. 한 이용자는 “병원에서 3개월분 이상은 반입이 문제될 수 있다며 거절당했다”고 털어놨다.
보건복지부와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이 같은 오남용을 막기 위해 단속을 강화하고 있다. 정부는 “허가 기준을 벗어난 처방”을 문제 삼아 위고비·마운자로 등을 ‘오남용 우려 의약품’으로 지정하고, ‘불법 원내 조제’에 대한 단속을 추진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