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대진 원주한라대 교수가 대통령실 국가안보실 통일정책비서관에 임명됐다. 통일·외교·안보분야의 대표적인 소장파 학자이자 활동가인 정 교수의 기용은 남북 간 신뢰회복과 대화 분위기 조성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는 정부 기조와 맞닿아 있다는 분석이다.
25일 관련 사정에 밝은 복수의 소식통은 "정 교수의 비서관 임명을 위한 절차가 지난달부터 진행됐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부터 대통령실로 출근해 근무 중이라고 한다. 이번 인사로 경제안보비서관을 제외한 국가안보실 비서관 다섯 자리가 채워졌다.
연세대에서 통일학 박사를 취득한 정 비서관은 한라대 글로벌비즈니스학부의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 한국고등교육재단 국제교류팀장, 아주대학교 아주통일연구소 연구교수를 역임했다. 또 신진·소장학자 중심의 독립연구법인인 한평정책연구소 평화센터장, 국립통일교육원 강원통일교육센터 사무처장,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상임위원 등으로 활동해왔다. 이재명 정부 들어선 국정기획위원회 외교안보분과 전문위원을 맡았다.

한편 북한은 이날 관영매체를 통해 지난 23일 도쿄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워싱턴의 '오해'를 덜어보려는 서울의 불안심리가 빚어낸 하나의 외교촌극"이라고 비난했다. 통신은 '3각 군사공조실현의 척후로 나선 서울위정자의 추태'라는 제목의 개인 필명 글에서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서 한·미·일 협력 강화의 중요성을 언급한 것은 "곧 만나게 될 백악관 주인을 향한 (이재명 대통령의)구애의 메시지"라고 평가했다.
이어 "이번 도쿄 행각의 배경에는 바로 현 집권자(이 대통령)에 대한 미국의 불신과 그로 인한 하수인의 번민이 얽혀 있다"며 "이재명이 야당 대표 시절 민심 유혹을 위해 내뱉곤 하던 '대일 강경' 발언으로 얻어쓴 '반일' 감투 때문에 집권 이후 일본 내부의 싸늘한 시선은 물론 미국의 냉대와 압박을 받아온 것은 잘 알려져 있다"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패권 지향적인 미국과 그 추종자들에 의해 벌어지고 있는 우려스러운 사태를 절대로 수수방관하고만 있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만 북한이 이 대통령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면서도 당국자 명의의 성명이나 담화가 아닌 개인 명의의 기고문 형식을 택한 건 수위를 조절한 것으로 볼 여지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