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조 시간·성능 앞선다"…삼성전자 '비스포크 AI 콤보' 차별화 포인트는

2025-05-22

건조 속도 20분 단축…3kg 용량 늘려도 외형 유지

하이브리드 방식 유지…히트펌프 단일 구조와 차별화

북미엔 벤트형 공략…국내선 일체형 시장 70% 점유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가 세탁부터 건조까지 한 번에 처리하는 '일체형 세탁건조기' 전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1년 만에 누적 10만대를 판매한 비스포크 인공지능(AI) 콤보는 올해 기술 구조를 재정비해 건조시간 단축과 대용량 대응을 동시에 노렸다. 북미 시장에 벤트형 모델을 추가하며 글로벌 시장 맞춤형 전략도 다변화도 병행하고 있다.

◆ 성능 유지하며 시간 단축…기술 완성도 높여

삼성전자가 22일 공개한 2025년형 비스포크 AI 콤보의 핵심 변화는 '건조 성능 유지'와 '작동 시간 단축'이다. 쾌속 모드 기준 기존 대비 건조 시간은 20분 줄었고 최대 세탁 25kg, 건조 18kg이라는 대용량을 지원하면서 외형 크기는 그대로 유지했다. 이는 열교환기의 전열면적 확대, 덕트 구조 개선, 회전 알고리즘 조정 등 열·공기 흐름 관련 요소를 정밀하게 조율한 결과다.

삼성전자는 일체형 구조의 내구성 문제를 보완하기 위한 기술적 조치도 병행했다. 성종훈 삼성전자 DA사업부 상무는 "단독 세탁기 용량 25kg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콤보 모델을 개발했다"며 "축하중이 집중되는 구조라 내구성 문제가 생길 수 있어, 축계 부품을 크게 키우고 덕트 커버는 스틸 소재를 적용해 기존 단독 제품보다 내구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 구조 전략 엇갈리는 삼성과 LG…차별점은 명확

경쟁사인 LG전자도 세탁건조기 제품을 꾸준히 내놓고 있지만, 두 회사는 건조 방식 선택에서 명확한 차이를 보인다. LG전자는 히트펌프 단일 방식을 고수하는 반면, 삼성은 히트펌프에 보조 히터를 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을 택했다. 두 회사 모두 에너지 효율과 건조 성능을 강조하고 있지만, 구조적으로 건조 열원 운용 방식에서 서로 다른 접근 방식을 취하고 있는 셈이다.

삼성전자가 적용한 하이브리드 건조 기술은 히트펌프 기반에 보조 히터를 결합한 구조다. 히트펌프는 에너지 효율이 높지만 건조 속도가 느릴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이에 삼성전자는 보조 히터를 추가해 예열 속도를 높이고, 건조 시간을 줄이는 방식으로 대응했다. 이번 제품이 기존보다 20분 빠른 '79분 완성'을 실현한 배경도 여기에 있다.

성 상무는 "이번 제품에도 하이브리드 히트펌프 방식을 적용했는데, 기본은 히트펌프이며 효율을 극대화하기 위해 예열 단계에 보조 히터를 추가한 구조"라며 "히터를 활용해 빠르게 온도를 끌어올린 뒤, 실제 건조는 100% 히트펌프 방식으로 이뤄진다"고 말했다.

◆ 벤트형 도입은 북미 공략 수단…실제 성과는 추후 관건

삼성전자는 북미 시장의 소비자 니즈에 맞춰 벤트형 일체형 세탁건조기 콤보를 별도로 출시하며 제품 경쟁력 확보에 나섰다. 벤트형은 히트펌프 대비 건조 시간이 짧아 북미에서 약 90%에 달하는 점유율을 보이는 주요 건조 방식이다. 삼성전자의 이번 벤트형 콤보 제품은 국내 기업 가운데 처음 시도된 구조로, 시간 효율을 중시하는 북미 소비자층을 겨냥한 전략적 대응이다.

성 상무는 "개발할 때부터 절대 변하지 않는 원칙은 성능은 기존 제품과 동일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며 "기존 사용하던 패턴이나 성능과 다르다면 소비자가 이 제품을 선택할 이유가 없다. 세탁건조기에서 가장 중요한 부분은 건조 성능이고, 건조 시간과 성능 면에서 경쟁사 대비 기술력은 앞서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kji0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