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하이종합지수 3350.13(+1.69, +0.05%)
선전성분지수 10513.12(+9.46, +0.09%)
촹예반지수 2104.63(+2.75, +0.13%)
커촹반50지수 1022.75(-1.63, -0.16%)
[베이징=뉴스핌] 조용성 특파원 = 2일 중국 증시는 관망세를 보였다. 미국의 상호 관세 부과 발표를 앞두고 무역전쟁에 대한 우려와 불확실성 제거에 대한 기대감이 엇갈리면서 소폭의 상승세를 나타냈다.
이날 상하이종합지수는 0.05% 상승한 3350.13, 선전성분지수는 0.09% 상승한 10513.12, 촹예반지수는 0.13% 상승한 2104.63으로 각각 장을 마감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일(미국 현지 시간) 불공정 무역 관행을 이유로 세계 각국에 고율 상호 관세를 부과할 방침이다. 구체적 내용은 아직 공개되지 않았지만 이번 관세는 협상 도구가 아니라 실제 징수로 이어질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사실상 모든 수입품에 20% 추가 관세를 부과해 글로벌 무역전쟁을 촉발할 수 있는 보편 관세가 발표될 가능성도 있다. 영국 BBC 방송은 "트럼프가 관세의 핵옵션을 추진한다"며 "그렇게 된다면 글로벌 통상 체계에 탄도미사일 세례급 공세"라고 지적했다.
왕이(王毅) 중국 공산당 정치국위원 겸 외교부장은 1일 러시아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은 그간 강압과 패권을 용납한 바가 없다"며 "미국이 한사코 압력을 가하고, 심지어 계속해서 각종 위협을 가한다면 중국은 반드시 단호히 반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왕 위원은 "만약 미국이 진정으로 펜타닐 문제를 해결하고 싶다면 이유 없는 관세 인상을 철회하고 중국과 평등한 협상을 해 호혜·협력의 길을 모색해야 한다"고 기존의 입장을 반복했다.

이날 특징주로는 휴머노이드 관련주가 대거 상승했다. 징궁커지(精工科技), 톈허쯔차이(天和磁材) 등이 상한가를 기록했다.
중국의 휴머노이드 업체인 유니트리(위수커지, 宇樹科技)가 자체 개발한 로봇 손 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서 로봇 손은 능숙한 동작을 구현해냈다. 손에는 94개의 센서가 장착돼 있어서 정교한 동작이 가능했다. 오렌지 던지기, 카드 펼치기, 큐브 쥐기, 책 넘기기 등의 동작을 시연했다. 휴머노이드 상용화에 대한 기대감이 발생하면서 관련주가 상승했다.
라이다 관련주도 상승했다. 선퉁커지(神通科技)가 상한가를 기록했고, 라이싸이지광(萊賽激光)이 높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국제자동기계엔지니어협회(SAE)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 전장 라이다 모델은 47종에 달했다. 이는 2021년에 비해 6배 증가한 수치다. 또한 욜(Yole)의 예측치에 따르면 전 세계 라이다 시장 규모는 연평균 41%의 성장률을 기록해 2027년 62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편 중국 인민은행 산하 외환 거래 센터는 이날 위안화 기준 환율을 달러당 7.1793위안으로 고시했다. 전 거래일(7.1775위안) 대비 0.0018위안 올린 것이며, 위안화 가치로는 0.03% 하락한 것이다.

ys174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