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다이소 등 오프라인 소매점을 중심으로 가성비 화장품 수요가 증가하는 가운데 CU가 내년 뷰티 특화 편의점을 1000점 이상까지 공격적으로 확대한다.
CU를 운영하는 BGF리테일은 편의점의 새로운 성장 카테고리로 적극 육성하고 있는 화장품 라인업을 대폭 늘리고, 현재 500여 점인 뷰티 특화 편의점을 2배 이상으로 확대하겠다고 24일 밝혔다. CU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으로 뷰티 차별화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현재 CU의 뷰티 특화 편의점은 대학가, 유흥가, 오피스가 등 가성비 화장품에 대한 수요가 높은 입지를 비롯해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화장품 구매처가 부족한 지방 권역에 이르기까지 폭넓게 들어서고 있는 중이다. 해당 점포들은 뷰티 전용 매대를 갖추고 스킨, 로션과 같은 기초 화장품부터 세럼, 리들샷, 립틴트, 수분 크림, 마스크팩, 트러블 패치 등에 이르기까지 최대 300여 종에 이르는 제품을 판매한다.
소비자 반응도 긍정적이다. CU의 2023년 화장품 매출은 전년 대비 28.3% 증가했고, 2024년(16.5%), 2025년(1~11월, 21.4%)로 꾸준히 두자릿수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매출의 약 70%를 1020세대가 차지하며 잘파세대가 주요 소비층으로 떠올랐다. 가성비와 다양한 구성, 높은 접근성 등을 앞세운 편의점이 기존 화장품 시장의 틈새를 공략하며 새로운 구매처로서 주목받고 있다는 설명이다.
이에 CU는 이달 20일 ‘W.DRESSROOM(더블유드레스룸)’의 퍼퓸 핸드크림을 새롭게 선보였다. 2초에 1개씩 판매되는 제품으로 에이프릴 코튼향과 화이트 머스크향 두 종류(각 40㎖, 4500원)다. 또 메이크업 아티스트 조은비가 디렉팅한 AOU의 ‘글로이 틴트밤 미니’ 5종(각 8900원)도 CU 뷰티 특화 편의점 전용 상품으로 출시했다.
최민지 BGF리테일 생활용품팀 MD는 “편의점 화장품 시장이 날로 커지면서 발 빠른 상품 출시와 차별화된 제품 운영이 중요한 경쟁 포인트가 되고 있다”며 “CU의 뷰티 특화 편의점은 도입 초기 140여 점에서 올해 말 500여 점을 앞두고 있으며 내년엔 매출 성장과 함께 2~3배 이상 더 늘어날 전망”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핫' D2C] 정밀 금속기술 입힌 'RC카 파츠'…북미서 승승장구](https://newsimg.sedaily.com/2025/11/23/2H0KEHT5DM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