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임 100일 한성숙 “이젠 회복 넘어 성장…벤처투자시장 40조 조성 본격 시동”

2025-11-05

중소벤처기업부가 민간 중심의 '벤처투자시장 40조원 조성 로드맵'을 추진한다. 연기금·퇴직연금의 벤처펀드 출자를 허용하고, 금융권과 일반 국민이 참여할 수 있는 투자 제도를 신설한다. 모태펀드 출자 예산은 현 1조원 규모에서 2배 이상 확대하고 존속기한도 연장한다.역대 최대 규모인 2.2조원 연구개발(R&D) 예산은 '돈이 되는 연구개발'에 집중 투입한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5일 서울 역삼동 팁스타운 GSC에서 열린 취임 100일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 중기부 정책의 축을 '회복에서 성장으로' 전환하겠다”고 밝히며, 향후 정책 방향으로 △어게인 벤처붐 △중소기업 스케일업 △활기찬 소상공인 △연결·융합의 생태계 조성 등 4대 과제를 제시했다.

중기부는 연내 '벤처 4대 강국 도약 종합대책(가칭)' 발표를 앞두고 벤처 활성화에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 현재 국내 벤처투자 규모는 연간 약 12조원 수준으로, 목표 달성을 위해 연기금·퇴직연금 자금 유입과 모태펀드 확대 등 강력한 금융 생태계 개선이 추진된다.

동시에 매년 유망 창업기업 6000개, 청년창업가 1000명, TIPS 선정기업 1200개사를 육성해 '모두의 창업 시대'를 연다. AI 제조혁신 분야에선 스마트공장 1만2000개 보급, 제조 AI 전문기업 500개 육성 목표를 제시했다.

한 장관은 “벤처 투자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과 세제 인센티브 등 종합대책에 구체적으로 반영하려고 노력하고 있다”며 “코스닥 시장 활성화 등 금융 제도 개편도 관계 부처와 협의 중”이라고 설명했다.

R&D 예산 2.2조원은 민간이 선투자한 스타트업을 정부가 성장단계별로 매칭 지원하는 팁스(TIPS) 방식 R&D 1.1조원을 포함한다. 또한 한국형 STTR 제도를 도입해 대학·출연연의 기술을 중소기업으로 이전하는 기술사업화 기반을 마련하기로 했다.

소상공인 분야에서는 약 300만 명의 대출 보유 소상공인을 상시 모니터링해 위기를 조기 포착하고, 정책자금·채무조정·재취업까지 지원하는 선제적 대응체계를 구축한다.

한 장관은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단순한 회복을 넘어 자생적 성장을 이루는 구조를 만들겠다”며 “중기부가 현장과 정책을 잇는 '성장 생태계의 허브' 역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지난 APEC 회의 기간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한국에 GPU 26만장을 공급하겠다고 밝힌 데 대해, 한 장관은 “AI 인프라 확충이 본격화되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이 오히려 더 빠르게 기회를 잡을 수 있다”며 “중소기업이 이같은 AI 생태계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 장관은 “AI 고속도로가 뚫리면 그다음부터는 누가 더 빨리 달리느냐의 문제”라며 “데이터 확보가 핵심이기 때문에 정부와 중기부가 보유한 공공·산업 데이터를 스타트업이 활용할 수 있도록 개방을 확대하고, 관련 법제화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제조 데이터를 확보하려면 중소기업 현장의 데이터가 반드시 필요하다”며 “대기업도 혼자 갈 수 없는 만큼, AI 생태계는 협력 구조로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한 장관은 취임 이후 100일 동안 총 49회 현장 정책투어를 진행했다. 평균 이틀에 한 번꼴로 중소기업, 스타트업, 소상공인 현장을 찾아 애로를 청취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미국 상호관세 대응 △기술탈취 근절 △소상공인 회복 지원 △AI 스마트제조혁신 △중소기업 지원체계 개선 등 현장대책을 잇달아 발표했다.

성현희 기자 sunghh@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